닫기
216.73.216.4
216.73.216.4
close menu
KCI 등재
서울 소재 초등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 설립 구분 및 특수학급 유무를 중심으로
Installation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Elementary Schools in Seoul: Focusing on the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Classes
김주선 ( Kim Joo Sun ) , 홍성두 ( Hong Sung Doo )
한국초등교육 32권 4호 113-128(16pages)
UCI I410-ECN-0102-2022-300-000947783

본 연구는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한 첫 단계인 물리적 통합 여건이자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학습편의 제공 현황을 검토하기 위해 학교알리미(정보공시제에 따른 학교 정보 제공 사이트)를 통해 서울시 전체 초등학교의 최신 정보인 2020년 ‘장애인 편의시설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11개 지역교육청의 602개교를 대상으로 학교설립 구분 및 특수학급 설치여부에 따라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범주 및 항목별로 살펴본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 초등학교의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설립 유형 구분에 따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살펴본 결과, 국·공립학교의 적정설치 비율이 80.2%로 사립학교 적정설치 비율 60.7%에 비해 20%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설치 여부에 따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살펴본 결과, 특수학급 설치학교의 적정설치 비율이 81.3%로 특수학급 미설치학교의 적정설치 비율 71.9%에 비해 약 10%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매개시설, 내부시설, 위생시설, 안내시설 총 4개의 범주로 학교설립 구분 및 특수학급 설치여부에 따라 살펴본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위생시설의 적정설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안내시설의 적정설치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전체 초등학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설립 구분과 특수학급 설치 여부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역교육청별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특성을 파악하고 향후 편의시설 설치 체계 마련을 촉구하는 연구로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내 장애인 편의시설’ 관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을 중심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현황에 대한 종단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학교 내 장애인 편의시설 이용자 중심의 편의시설 이용 만족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how many current educational policy studies that speak of school space innovation reflect the needs of integrated education of learners with various special education need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s the basic data, the current status of installation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ll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as examined. To this end, this study used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2020 provided by the School Info. The install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n all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and by category and item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depending on whether schools were established or special classes were installe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stallation status of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by 11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602 schools in Seoul by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and presence or absence of special classes are as follows. In private schools, facilities for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 needs are insufficient, and the level of facility installation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In addition, the ratio of installation of information facilities a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disabled was the lowest.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roperly equip the most basic facilities for integrated education of various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fore talking about school space innovation. Education authorities need to think deeply about the value of school space innov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 basics of school education facilities for various learners are not provid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