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메타버스 플랫폼의 유형별 사례를 통한 콘텐츠 활용방안
Contents Application Methods of Metaverse Platforms by Type Examples
오혜정 ( Hyejung Oh )
인문사회 21 12권 6호 2673-2684(12pages)
DOI 10.22143/HSS21.12.6.188
UCI I410-ECN-0102-2022-000-000958936

메타버스는 현실과 가상의 융합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연결과 소통을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가상세계에서 모든 영역과의 활용과 융합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현 시점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들은 긍정적 측면의 효과와 그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소통의 수단으로 보편화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의 유형별 플랫폼 사례분석을 통해 콘텐츠 활용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메타버스+교육’, ‘메타버스+관광’, ‘메타버스+문화도시’, ‘메타버스+부동산’ 등 현실세계와 가상세계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플랫폼과 콘텐츠를 제작하여 물리적 제약이 없는 소통의 공간을 만들고, 각 분야별 기술 도입과 관련 정책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Metaverse is a platform that supports various types of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reality and virtualism. Its main goal is to facilitate application and integration of every area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in virtual world. At this point of time, examples of Metaverse applications are suggesting their positive effects and necessity, and considered generalization as a future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contents application methods of Metaverse platforms by type examples as follows. Platforms and contents which cross over borders between real worlds and virtual worlds such as ‘Metaverse+Education’, ‘Metaverse+Tourism’, ‘Metaverse+Culture City’, ‘Metaverse+Real Estate’, and etc. should be produced so that communication space without physical limitation could be facilitated. And introductions of technology in each field and related policies are also required.

Ⅰ. 서론
Ⅱ. 메타버스의 개념과 발전 배경
Ⅲ. 메타버스의 주요 정책과 유형별 활용사례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