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우수
소멸시효 기간연장합의의 효력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Comparative Study on validity of Agreement for Extension of Extinctive Prescription Period
徐鐘喜 ( Seo Jonghee )
법조협회 2021.12
법조 70권 6호 7-36(30pages)
UCI I410-ECN-0102-2022-300-000955232

민법 제184조 제2항에 의하면 시효기간의 연장합의는 예외 없이 무효가 될 것인지가 문제되나, 비교법적인 검토를 통해 얻어 낼 수 있는 결론은 해석론에 의하더라도 유효가 될 여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해석에 맡기는 것보다는 국제적인 동향 등을 고려하여 입법론적으로는 검토해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은 독일, 프랑스, 유럽계약법원칙(PECL)과 같이 비교적 단기의 보통시효 기간을 마련하여 이를 당사자의 이익조정을 도모하는 임의규정으로 삼고, 다른 한편으로 공익과 관련하는 강행규정으로서 합의의 상한기간(독일 민법 및 PECL에서는 30년, 프랑스민법 10년)을 제한하여 당사자가 그 기간의 범위 내에서 계약에 의해 시효기간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방법은 일본민법과 같이 시효기간을 단일화하면서도 시효기간의 단축만을 합의로 인정하고, 시효기간의 연장은 기한유예 등의 방법을 통해 간접적으로 달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민법개정시 시효의 연장합의를 명문으로 가능하게 할 것인지는 선택의 문제라 할 수 있을 것지만, 어떠한 선택을 할 것인지는 시효기간의 획일화, 보통소멸시효기간의 단축, 그리고 소멸시효 기산점의 주관화 등과 함께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생각건대 시효법에 대한 전체적인 개정을 전제로 하여 합의에 의한 시효기간의 단축 및 연장을 원칙적으로 허용하는 방향으로 개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According to Article 184 (2) of the Civil Act, Although extinctive prescription shall, by a juristic act, not be excluded, extended or aggravated, it may be shortened or lessened. According to Article 184 (2) of the Civil Act, the question is whether the agreement to extend the prescription period will be null and void without exception.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through comparative study are not without room for validity even by interpretation. However, rather than leaving this issue to interpretation,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examine it from a legislative perspective in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trends. The first way to consider is to establish a relatively short normal prescription period, such as Germany, France, and the European Contract Principles (PECL), and extend it by agreement. However, by limiting the upper limit of the agreement (30 years under German Civil Code and PECL, and 10 years under French Civil Code), the parties can extend the prescription period by contract within that period. Another method is to unify the period of prescription as in the Japanese Civil Act, but only to reduce the period of prescription as an agreement, and to extend the period of prescription indirectly through methods such as deferment. It can be said that it is a matter of choice whether to make an agreement to extend the prescription in writing possible when the civil law is amended. However, which choice to choose should be discussed along with the uniformity of the prescription period, the shortening of the normal expiration date, and the subjectiveization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 think it is reasonable to revise the prescription in a way that allows shortening and extension of the prescription period by agreement in principle on the premise of the overall revision of the prescription law.

Ⅰ. 들어가는 말
Ⅱ. 시효연장합의에 대한 우리나라 판례와 학설의 입장
Ⅲ. 비교법적 고찰
Ⅳ. 우리 민법에의 시사점 - 시효기간연장합의 규정을 두는 것에 대하여 -
Ⅴ.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