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KCI 등재
박정희 시대 민족주의적 통치성과 대항 담론 및 저항 주체
The Nationalist Governmentality of the Park Chung Hee Era and Its Counter-Discourses
홍태영 ( Hong Taiyoung )
기억과 전망 45권 12-54(43pages)
DOI 10.31008/MV.45.1
UCI I410-ECN-0102-2022-300-00098356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통치 세력과 저항 세력 모두에게 유용한 정치적 동원 자원으로 존재해 왔다. 4·19와 5·16을 거치면서 박정희 정권이 내세운 민족주의는 근대화를 통한 ‘잘살기’와 부국강병이 목표였다는 점에서 여타의 자유주의 세력들도 동의할 수 있는 이데올로기였다. 민족주의, 특히 경제적 민족주의는 남한 사회 다양한 세력들로부터 일정한 동의를 받을 수 있었고, 그러한 민족주의는 국민의 삶 전체를 규율하기에 이른다. 그것이 이른바 ‘민족주의적 통치성’의 형성이었다. 박정희의 민족주의에 대항해 형성된 저항 담론은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이해될 수 있다. 하나는 박정희 정부가 추진한 경제적 민족주의를 통해 경제개발이 만들어낸 한국 경제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에 대한 추구의 시도(2절)이며, 다른 하나는 박정희의 민족주의 및 박정희가 추구한 ‘민족적인 것’에 대한 비판과 대항 담론의 형성(3절)이다. 그리고 이러한 대항 담론이 민족주의적 통치성의 자장 속에 위치했지만, 서서히 박정희 시기 형성된 대항 담론은 이러한 대항 세력을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주체에 대한 탐구(4절)로 이어지면서 균열을 발생시킨다.

In South Korea, nationalism has consistently been a valuable political resource for both the government and its oppositions.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and the May 16 Coup d’Etat, the nationalist ideology purported by the Park Chung Hee government aimed to realize a strong, prospering nation through modernization, which were goals shared by its liberalist oppositions. As such, this nationalist ideology, especially economic nationalism, was accepted by almost all groups of South Korean society to a certain degree, to eventually govern the people’s everyday life - thereby establishing the so-called ‘nationalist governmentality.’ The counter-discourses formed in resistance to Park Chung Hee’s nationalism could be understood largely in two levels. Firstly, there were the criticisms of the South Korean economy built through Park Chung Hee government’s economic nationalism and attempts to pursue alternative approaches (Section II). Secondly, there were the criticisms of Park Chung Hee’s nationalism and what he understood as national, against which there formed resistance discourses (Section III). Although these resistance discourses were located under the larger umbrella of nationalist governmentality, they began to explore new actors of resistance to create clevages of governmentality (Section IV) during Park Chung Hee’s rule. The formation of new actors, the study of new social order, and socio-political movements result in the collapse of Park’s regime

1. 서론
2. 자립 경제에 대한 퇴행적 희망 혹은 미망
3. ‘민족적인 것’을 둘러싼 논의 - 민족사학과 민족문학
4. 저항 그리고 균열된 주체
5.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