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가 그동안 해온 한글 교육과 문해력 교육은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 문해력 교육과 한글 교육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한글 교육은 ‘한글’을 가르친다는 말이다. 문해력 교육은 단순히 단어와 문장을 해독하는 것을 넘어 복잡한 텍스트를 읽고 해석하고 평가하는 능력까지 모두 아우른다. 문해력 발달 단계에서 초기 문해력은 출생부터 8세까지 발달 기간으로 가정과 학교 교육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특히 초기 문해력은 이후 문해력 발달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원격수업이 본격화되면서 기초학력 부진 학생이 늘어난 상황에서 학습격차와는 별개로 ‘기초학력’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전라남도교육청은 2020학년도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기초학력 전담교사’제도로 초등 정규교사를 배치하여 기초학력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기초학력 전담교사 중 문해력을 전담하는 교사로서 지도한 1학년 조손가정 아이 00이 지도사례를 통해 초기 문해력의 지도 방법과 기초학력에 대한 지원에 대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