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급종합병원은 “중증질환에 대하여 난이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종합병원”으로 일반종합병원에 비해 의료서비스와 장비 측면에서 우수한 종합병원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종합전문요양기관을 지정하기 시작하였고, 2011년부터는 상급종합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하여 보건복지부 장관이 3년 주기로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평가하여 상급종합병원을 지정한다. 아직까지 종합병원의 성과를 회계 관점에서 살펴본 연구는 드물며, 상급종합병원과 다른 종합병원의 회계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연구 역시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회계성과가 다른 종합병원에 비해 우수한지 조사한다. 2016년에서 2019년 사이의 국내 종합병원 재무제표 자료를 이용하여 조사한 별과, 총자산이익률로 대용된 회계성과는 상급종합병원이 일반종합병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병원의 이익을 의료이익과 의료외이익으로 나눈 조사에서는 상급종합병원의 의료이익률이 일반종합병원보다 높았지만, 의료외이익률은 두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다음으로, 종합병원의 회계성과를 창출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해 DuPont 분석을 활용한 결과, 상급종합병원의 자산회전율과 매출액순이익률이 모두 일반종합병원보다 높음을 발견하였다. 회계성과 요인을 종합병원의 성격에 따라 구분한 조사에서는 설립형태가 학교법인인 경우 상급종합병원의 회계성과가 증분적으로 높아졌으나, 병상수가 1,000개 이상으로 많은 경우에는 오히려 회계성과가 감소하였다. 반면, 서울 소재 여부는 상급종합병원의 성과에 유의한 증분효과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회계성과의 수준 뿐 아니라 지속성을 살펴보았으며, 상급종합병원의 회계성과는 일반종합병원에 비해 더 지속성이 있었다. 또한 상급종합병원의 높은 회계성과 지속성은 매출액순이익률의 지속성에 기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계와 실무 및 제도에 다음과 같은 공헌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의 성과를 일반종합병원과 구분하여 회계학 관점에서 조사한 최초의 연구이다. 특히 상급종합병원의 성과를 DuPont 분석, 지속성 등으로 포괄적으로 조사하여 병원의 경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다. 둘째,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지정제도에 제도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현재 상급종합병원은 4기 명단이 발표된 상태이며, 1기에서 4기까지 상급종합병원 평가를 위한 주요항목에는 지속적인 변화가 있어 왔다. 다만, 이 항목에는 회계성과가 포함되어 있지는 않다. 본 연구는 지정된 상급종합병원의 회계성과가 일반종합병원과 체계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보여 제도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상급종합병원은 건강보험수가 종별가산율이 일반종합병원보다 높아 종합병원의 관점에서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되도록 노력하는 것은 충분한 유인이 있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이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어떠한 노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ertiary general hospital is specialized in medical services for serious diseases than other general hospitals. Since tertiary general hospital operates for the purpose of treating serious patients, it provides a superior medical services compared to the other general hospitals.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accounting performance of these tertiary general hospitals is higher than the other general hospitals. The results show that accounting performance proxied by the return on assets is significantly higher in tertiary general hospital than in other general hospitals. Next, as a result of using DuPont analys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create accounting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s, current study documents that both asset turnover and profit margin of tertiary general hospitals a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general hospitals. Finally, it finds that accounting performance of tertiary general hospitals increases gradually when it is established by an educational foundation. In contrast, accounting performance incrementally decreases when the number of beds is more than 1,000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incremental effect of Seoul located on the performance. Finally, the accounting performance of tertiary general hospitals is more persistence than that of other general hospitals. This study makes contributions to the academic, practice, and medical service related reg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