別祈恩은 종교의례가 그 定例의 형태가 아닌 ‘別例’ 형태로 설행되는 의례를 가리킨다. 고려 全 시기에 걸쳐 佛·道·儒·巫 등 다양한 종교적 색채를 보이며 설행되어 온 별기은은 고려 중기 국가적 환난으로 인해 빈번히 개설되며 점차 체계화되어 고유의례로 변모하게 된다.
이 글에서는 고려 중기 별기은의 제도화·고유화를 주도했던 術僧 致純의 정체에 대해 고찰하였다. 치순은 명종대에서만 그 모습을 보이는데, 그에 대한 모든 기록에서 그가 별기은을 主唱하는 모습이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치순의 건의로 명종 8년(1178) 別例祈恩都監이 설치되며, 이제껏 타 의례의 별례의 경우에 불과하였던 별기은에 처음으로 고유성이 부과된다. 이듬해 치순은 또 한 번의 별기은 주창 모습을 보이는데, 3년에 한 번 會慶殿에서 행해지는 것이 정례였던 백좌회를 開國寺에서 前年에 이어 다시금 別設케 한 것이다. 즉 현재까지 확인되는 치순의 모습은 오직 두 기록 뿐이지만 모두 거국적 의례를 주창하던 그의 행보를 보여주고 있으니, 명종대 별기은제행에 있어서 그의 영향력이 중대하였음은 분명한 사실이다.
비록 치순과 관련하여 유이한 두 기록만이 현전하고 있지만, 그가 술승이라는 사실과 함께 佛事와 관련한 도감 설치를 주장한 사실, 개국사에서 별기은 설행을 제안한 사실 등을 통해, 치순이 개국사 소속 승려로 짐작되며 당대 日官이었을 가능성이 있겠다. 이 글에서는 소량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는 치순의 흔적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의 정체와 함께 행보 및 정치적 관계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Byeolgieun(別祈恩) refers to a case where a religious ritual is practiced in a separate form rather than in a regular form. Throughout the Goryeo period, Byeolgieun, which has various religious colors such as Buddhism, Confucianism, Taoism, and shamanism, has been practiced.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yeolgieun, which has outstanding exceptions, has been practiced frequently due to national hardship and gradually systematized and transformed into a unique ritual since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This study considered the identity of Sulseung(術僧) Chisun(致純), who led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uniqueness of Byeolgieun in the middle of Goryeo. Chisun appears only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明宗), and all of his records show the appearance of director Byeolgieun, drawing attention. Chisun insisted on the establishment of the Byeolryegieundogam(別例祈恩都監) in the 8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and it imposed uniqueness on Byeolgieun, which had been only a exceptional case of other rituals, for the first time. The following year, Chisun shows another appearance related to Byeolgieun, which allowed the Baekjwahoe(百座會), which was regular to be held once every three years, to be held at Gaeguk temple(開國寺) again following last year. In other words, there are only two records of Chisun that can be confirmed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but both show a move to oversee national rituals, so it is clear that his influence was great in the performance of Byeolgieun during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Although only two records remain regarding Chisun, based on the fact that Chisun was a Sulseung, the fact that he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 Buddhist-related Dogam(都監), and the fact that Byeolgieun was held at Gaeguk temple, it is presumed that he was a monk belonging to Gaeguk temple and a Ilgwan(日官) at the time. This study closely analyzed Chisun's two records and examined his identity, behavior, and background of his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