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초·중·고등학교 남자 엘리트 농구선수들의 체격 및 체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of male elite basketball play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박경진 ( Park¸ Kyoung-jin ) , 배주용 ( Bae¸ Ju-yong ) , 이상호 ( Lee¸ Sang-ho )
DOI 10.24826/KSCS.10.5.26
UCI I410-ECN-0102-2022-000-000850502

연구목적: 농구선수에게 체격과 기초체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한국프로농구(KBL)에서는 학생 엘리트 농구 선수들을 지원하고, 우수 프로농구 선수로 양성하기 위하여, 2019년부터 매년 학생 농구선수들의 신체조성과 기초체력 등의 측정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9년도 대한민국농구협회에 등록된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KBL에서 측정한 초·중·고등학교 선수들의 체격과 기초체력을 제시하고, 지역별로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9년도 대한민국농구협회에 등록된 전국 엘리트 남자 농구 초등 21팀(190명), 중등 27팀(313명), 고등 18팀(12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초등학생 선수들은 4~6학년, 중학생 선수들은 1~3학년, 그리고 고등학생 선수들은 1~2학년이 측정에 참여하였다. 결과: 체격의 경우 신장, 체중, 다리길이, 양팔길이, 스탠딩리치에서 수도권과 광역시에 비해 지방선수들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체력 또한 체격의 경우와 유사하게 수도권과 광역시에 비해 지방선수들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결론: 선수들의 체격과 체력은 경기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체격과 체력을 측정한 결과 수도권과 광역시에 선수들의 기량이 편중되어 있어 지방 팀의 경기 수행력이 약하다. 수도권에 편향된 지원은 팀의 안전성과 성적에 기여하며, 우수한 지방 선수의 이탈을 발생시키는데 영향을 미침으로써, 지방 학교 체육의 쇠퇴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 및 체육회, 그리고 지방 연고 프로팀에서의 학교 엘리트 선수 양성에 관심과 지원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hysique and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ale elite basketball players who were registered with the Korea Basketball Association,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ults by regional group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November, 2019, and was conducted on 21 elementary school teams(190 players), 27 middle school teams(313 players), and 18 high school teams(127 players). Results: Standing reac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 than in the provincial(p<.05), and standing reach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metropolitan students than in the provincial students (p<.05). Vertical jump and running jump i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lower in the provincial students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p<.05). 3/4 court sprint in the middle school students was slower in the metropolitan students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p<.05), and that by high school students was slower in the metropolitan students than in the provincial students(p<.05). Although significant statistic indicators were not observed, all sub-variables of physique and physical fitness tended to be low in the provincial students than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metropolitan student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selecting elite student basketball players, and it can be helpful in setting goals for improving the physical strength of student elite basketball players. In addition, externally, it i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