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산병원 조사에 의하면 수면장애 된 사람이 크게 늘었으며, 특히 젊은 직장인이 직업과 가족의 빠른 발전에 중요한 단계에 있어 수면장애의 비율이 크게 늘고 있는 실정이다. 장기적인 수명 장애는 사람들의 일상 활동과 신체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러므로, 수면에 주의를 기울이고 수면과 건강의 문제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수면 보조제품과 맞춤형 수면 콘텐츠에 대한 수요도가 증가하고 있고 스마트 제품의 빠른 발전은 수면 제품의 디자인과 개선에 새로운 전환점이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제품 서비스 시스템(PSS)의 관점에서 새로운 수면장애 제품에 대한 서비스모델을 개발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진행내용으로 첫째, 이해관계자 간의 상호작용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왜 수면에 문제가 있는지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토론하는 방법으로 아이디어와 키워드를 도출하였고 기존 수면 제품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수면 제품의 장점과 단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대상자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페르소나에 대한 시나리오를 구체화하였고 고객 심층 인터뷰와 조사를 통하여 8개 분야의 키워드 중 총 30개의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KJ 방법을 활용하여 복합적인 통찰력을 유기적으로 결합 및 귀납하고 사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핵심 가치를 도출 및 다자간 협업과 상생으로 수면의 질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스마트 수면 보조제품 서비스 시스템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였는데 도출한 주요 내용으로는 수면 환경, 질 좋은 수면을 위한 방법에 대한 지적 부재 등 7가지 이슈가 주요 요인이었다. 최종적으로 7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 수면 기술의 활용 내용과 과정을 시각화하였다.
According to a survey at Asan Medical Center in Seoul, the number of people with sleep disorder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in particular, the rate of sleep disorders is increasing significantly among young office workers as they are at an important stage in the rapid development of their jobs and families. Long-term lifespan impairments will seriously affect people's daily activities and physical health.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leep and study the problems of sleep and health. For this reason, the demand for various sleep aids and customized sleep contents is increasing,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smart products has become a new turning point in the design and improvement of sleep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rvice model for a new sleep disorder product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Product Service System(PSS). First, the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stakeholders was analyzed with specific research methods and progress. Ideas and keywords were derived through a free discussion method focusing on the topic of why there is a problem with sleep, an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ustomized sleep products were analyze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existing sleep products. Second, the scenario for persona was spec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and a total of 30 problems and requirements among the keywords in 8 fields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customer interviews and surveys. Third, an intelligent sleep aid product service system business model that organically combines and inducts complex insights using the KJ method, derives core values through user satisfaction surveys, and effectively improves sleep quality through multilateral collaboration and coexistence was proposed, but as the main content derived, seven issues were the main factors, including the sleep environment and the lack of intellectual knowledge on methods for good quality sleep. Finally, the contents and process of using smart sleep technology to solve seven problems were visual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