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사용성 증진을 위한 쇼핑 앱의 UI 디자인 제안 연구 - 베이비붐 세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I Design Proposal of Shopping Apps to Promote Usability - Focusing on babyboom generation -
왕저위 ( Wang¸ Zeyu ) , 이창욱 ( Lee¸ Chang-wook )
DOI 10.25111/jcd.2021.77.10
UCI I410-ECN-0102-2022-600-000878906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4개 쇼핑 앱을 평가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후 선행문헌의 연구 성과 기반으로 본 연구에 적합한 UI 디자인 구성요소 및 사용성 평가 원칙을 도출하고 베이비붐 세대를 평가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의 방식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에는 조사 결과를 토대로 쇼핑 앱 UI 디자인의 사용성에 존재하는 문제를 확인하여 관련 개선 제안을 제기하였다. 구체적인 제안은 아래와 같다. 첫 번째, 레이아웃을 디자 인할 때 각 화면에서 동일 구성요소의 위치와 조작방식의 일치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리고 화면에는 필요한 정보만 기입해야 하고 같은 화면에서는 한 가지 정보 슬라이딩 방식만 적용해야 한다. 두 번째, 각 화면에서 색채의 사용은 일관성을 확보해야 하고, 아이콘과 배경에는 쉽게 구분할 수 있는 색채를 사용해야 한다. 색채의 수량도 제한되어야 하고 너무 많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중요한 정보, 버튼 등에는 파장이 긴 색채를 사용하여 베이비붐 세대가 색채를 통해 정보를 쉽게 선별할 수 있어야 한다. 세 번째, 각 화면에서 아이콘 스타일의 일관성을 확보해야 하고 동시에 아이콘의 사이즈와 간격을 가능한 확대하여 충분한 공간을 남겨 베이비붐 세대가 쉽게 클릭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아이콘의 외관은 과도하게 추상적이지 않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구상적인 외관과 대응되는 짧은 명사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쇼핑 앱 운영 플랫폼이 기획과 보완을 진행하는데 지향적 및 합리적 제안을 제공하고, 베이비붐 세대에게 더욱 효과적인 쇼핑경험을 제공하였으면 한다.

In this study, four domestic shopping app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through a survey. After tha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receding literature, UI design elements and usability evaluation principles suitable for this study were derived, and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survey with baby boomers as the evaluation target. Finall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problems in the usability of the shopping app UI design were identified and related improvement suggestions were made. Specific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when designing a layou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consistency of the posi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omponent on each screen. In addition, only necessary information should be entered on the screen, and only one information sliding method should be applied on the same screen. Second, the use of colors in each screen should be consistent, and easily distinguishable colors should be used for icons and backgrounds. The quantity of colors should also be limited and not too many. And by using long-wavelength colors for important information and buttons, baby boomers should be able to easily select information through color. Third, the style of icons on each screen should be consistent, and at the same time, the size and spacing of icons should be enlarged as much as possible, leaving enough space for baby boomers to easily click. In addition, the appearance of the icon should not be overly abstract and should use short noun words that correspond to the easily understandable, figurative appearanc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future shopping app operating platforms will provide oriented and rational suggestions for planning and supplementing, and provide a more effective shopping experience for the baby boomers.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쇼핑 앱 UI 디자인의 사용성 평가
4.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쇼핑 앱 UI 디자인 제안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