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장기간의 기구 필라테스 운동이 근기능과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방법] 여대생 24명을 대상으로 기구 필라테스 운동집단(Instrumental Pilates Group; IPG, n=12)과 대조집단(Control Group; CG, n=12)으로 나누어 1일 60분, 주 3회, 12주 간의 스프링보드 기구 필라테스 운동 부하를 실시하였다.
[결과] 우측 무릎 및 좌 · 우측 팔꿈치 폄근의 등속성 최대 근력(60°/sec)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p <.05; p <.01)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좌측 무릎 폄근 및 우측 팔꿈치 폄근과 굽힘근의 등속성 최대 근지구력(180°/sec)에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p <.05; p <.01)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 전신 및 몸통, 팔, 다리의 근육량에서는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으며(NS), 혈중 근육 성장인자인 성장호르몬과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I, 25(OH)Vitamin D에서도 상호작용이 없었다(NS). 혈중 크레아틴 키나아제(CK)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05). 체중 및 체지방량, 체지방률에도 유의한 상호작용이 없었으며,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에도 상호작용이 없었다(NS).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장기간의 기구 필라테스 운동은 근육량을 개선시키지 못하지만 등속성 근기능을 개선시킬 가능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week instrumental pilates exercise on isokinetic muscle function and body composition of healthy college women. METHODS Twenty-four college women (aged 21.6±1.3yrs) were recruited to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 the instrumental pilates group (IPG, n=12) and the control group (CG, n=12). The springboard pilates exercise was conducted 3 times a week for 40~60 minutes during 12 weeks.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right knee and left · right elbow extensor muscles (60°/sec) and left knee flexor and right elbow extensor · flexor muscles (180°/sec)(p<.05, p<.01). There was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the muscle mass of the total body, trunk, arms, and legs (NS) and also in the serum growth hormone, insulin-like growth factor-I and 25(OH)Vitamin D (NS). Serum creatine kin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p<.05).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weight, body fat,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low &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N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prolonged instrumental pilates exercise of healthy college women might be improving isokinetic muscle function, there is no increasing effect of muscle m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