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109.247
52.15.109.247
close menu
KCI 등재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의 데이터 시각화와 디자인 연구 - '스마트시티 데이터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 화면 구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and Design of Data for Real-time Analysis Dashboard - Focusing on the Realization of the 'Smart City Data Real-Time Analysis Dashboard' Screen -
김진영 ( Kim Jin Young ) , 이희준 ( Lee Hee Jun ) , 김홍준 ( Kim Hong Joon ) , 김재헌 ( Kim Jae Hun )
UCI I410-ECN-0102-2022-600-000917248

데이터는 4차 산업시대의 핵심연료이자 원유이다. 데이터의 가치와 잠재력은 아직 다 측정되지 않았으며 여전히 확장되고 증가하고 있다. 데이터 시각화는 시각화를 통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데이터간의 관계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강력한 도구이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이상적인 데이터 시각화는 데이터 과학과 시각 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융·복합적으로 요구한다. 본 연구는 주요 개념인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데이터 시각화의 정의와 의미를 살펴보고, 유사 개념인 정보 디자인, 정보 시각화, 인포그래픽을 비교하여 데이터 시각화가 갖는 데이터와 정보로서의 의미에 대해 함께 고찰한다.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의 데이터 시각화와 디자인 연구를 위하여 데스크 리서치 및 전문가 참여를 통해 시각화 모델 설계를 하고 3차 전문가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가 갖는 실시간성이 디자인 요소와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 살펴보았고, 도출된 7가지 연구결과를 데이터 시각화 디자인 모델로 구축하여 실제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화면에 적용하였다. 차트 표현 목적 4가지(비교, 분포, 패턴, 관계)에 시간 요소를 추가하여 데이터 시각화를 위한 기준을 도출하고,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화면이 갖는 데이터 시각화의 ‘시간성’에 주목하였다. 선행 연구의 내용을 계승하면서, 실무적 적용을 이끌고, 스마트시티가 가지고 있는 다학제적 성격을 고려하여 여러 분야의 다양한 연구와 시선을 고찰, ‘스마트시티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가 갖는 ’실시간성‘을 사용자 경험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대시보드 화면에 적용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Data is an important subset of the fourth industrial age. The value and potential of the data has not yet been fully discovered, and is still under development. Data visualization is a very powerful tool that effectively understands data through visualization and intuitively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data. It is a representative method of supporting decision making. Ideal data visualization requires a fusion and a combination of understanding of data science and visual design. This study examines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smart city, dashboard, and data visualization, which are major concepts, and compares information design,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infographic, which are similar concepts, to examine the meaning of data visualization and information. For the data visualization and design research of real-time analysis dashboard, visualization model design is conducted through desk research and expert participation, and third expert analysis i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al-time analysis dashboards were examined how the real-time properties could be connected to design elements, and the 7 results of the study were constructed as a data visualization design model and applied to the actual smart city dashboard screen. The time factor was added to the four purposes of chart expression (comparison, distribution, pattern, relationship) to derive the standard for data visualization and pay attention to the 'timeness' of data visualization of smart city dashboard. In the course of inherit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studies, it is meaningful that it led the practical application, considered various studies and gazes in various fields considering the multidisciplinary characteristics of Smart City, and applied 'real-timeness' of 'Smart City Real-time Analysis Dashboard' to the dashboard screen from the user experience and user interface perspective.

1. 서론
2. 스마트시티, 대시보드 그리고 데이터 시각화의 이론적 고찰
3. 실시간 분석 대시보드의 시각화 모델 연구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