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기획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개산견적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최적의 영향요인 조합을 제시하였다. 이에 기획단계에서 활용이 가능한 정량적인 영향요인을 선정하여 상관분석 통해 공사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연 면적을 중심으로 8가지의 영향요인 조합을 설정하였다. 8가지 영향요인 조합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VIF계수 및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VIF계수를 통해 연면적, 건축면적과 층 영향요인을 함께 사용할 경우 연면적과 건축면적 두 영향요인 간의 종속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에 독립성이 예측 모델 정확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 사례 프로젝트 10건을 회귀식에 대입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독립성이 확보가 안 된 영향요인 조합은 다른 영향요인에 비해 정확도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많은 영향요인을 활용하는 것보다 최적의 영향요인 조합을 선정하는 것이 예측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연면적과 건축면적을 활용하였을 경우 정확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A Conceptual cost estimate, which is computed in the preliminary step of a project, is important for decision-making by a contractor in terms of the project budget, economic feasi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alternative comparisons. Therefore, a high error rate of a prediction model for a conceptual cost estimate can lead to various problems including excessive project expenditures and a delayed break-even point. this study proposed optimal impact factors by configuring quantitative impact factors computable in a preliminary step in various cases(combinations of impact factors). subsequently, the accuracy of different cases was comparatively analyzed by using the cases as input values of a prediction model using regression analysis. when the optimal combination of impact factors proposed in this study and other combination of impact factors were applied to the prediction model, the regression analysis-based prediction model exhibited 0.2-4.7% improvements in accuracy, respectively. the optimal combination of impact factors proposed in this study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model of a conceptual cost estimate by removing unnecessary impact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