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초ㆍ중등 학부모 대상 수학교과 인식 및 요구 조사
Analysis of Recognition and Needs for Parent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for Mathematics Education
이형주 ( Lee¸ Hyeung Ju ) , 김형식 ( Kim¸ Hyeongsik ) , 고호경 ( Ko¸ Ho Kyoung )
UCI I410-ECN-0102-2022-300-000727961

본 연구는 학부모의 수학에 대한 인식이 자녀의 수학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근원적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부모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인식과 만족도 등에 관한 내용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수학교육 및 자녀 교육과 학부모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전국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무작위 추출하였으며, 초등학생 학부모 133명, 중·고등학생 학부모 411명에 따른 학부모의 응답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설문 결과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모두 학부모가 수학 교과의 가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자녀의 수학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도 긍정적이고, 학부모의 수학 관련 교육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교육 프로그램 참여 의지는 중·고등학생 학부모가 초등학생 학부모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 교과 전반에 대한 만족도 또한 초등학생 학부모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미래 신기술을 활용한 수업 및 인공지능이나 데이터 분석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수학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는 교육전문가들이 향후 진지하게 고민해보아야 할 과제로서 학부모가 참여하는 수학교육의 확대, 미래 수학학습을 위한 수학 학습 환경의 조성, 수학교육 관련하여 다양한 학부모 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ntents related to parents' percep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intended to deduc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s, child education, and parent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more positively the parents perceived the value of the mathematics learning, the more positively the child perceived, and the higher the parent's participation rate in mathematics-related education was. In terms of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t showed that th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educational programs was lower for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showed higher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parents have perceived the necessity of teach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or data analysis skills.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experience in education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ir children's math teacher's class preparedness. Parents perceived positively to how pragmatic mathematics curriculum can be and provided answers to what they wish in specific mathematics classes in learning methods and future mathematics learning. As this is for educational experts to consider much in-depth in the futu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diverse parents’ education related to mathematics including the expansion of mathematics education with parents’ participation, the creation of a mathematics learning environment for future mathematics learning.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