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론은 초대교회부터 지금까지 기독교 신학에서 가장 핵심적으로 다루어진 분야이다. 그래서 기독교의 구원론은 여타의 교리들, 신론, 창조론, 인간론, 기독론, 성령론, 교회론, 종말론 등을 수렴하는 핵심적인 교리가 된다. 인간이 죄를 지은 이래로, 성서의 초점이 인간의 구원에 맞추어져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원을 뺀다면, 기독교의 다른 교리들은 의미를 상실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런데 성서는 구원의 현재뿐 아니라, 미래의 완성에 대한 비전까지 제시하고 있다. 성서적 구원관이 현재뿐 아니라, 미래적인 의미를 갖는다면, 구원은 하나의 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구원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지점에서 종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거기에서 시작되어 살아있는 동안 계속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성서가 제시하는 구원의 특징이고, 웨슬리는 구원의 이런 특징을 가장 잘 이해한 신학자이다. 그래서 그는 어느 신학자보다도 “구원의 질서”라는 이름으로 구원의 전 과정을 세밀하게 전개한다.
웨슬리가 구원론을 세밀하게 전개하는 토대는 인간의 죄 성에 있다. 이것은 그가 인간에 대한 성서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랐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그는 성서의 가르침대로 인간이 원죄를 지닌 죄인으로 태어난다는 점을 확실하게 선포했다. 인간은 죄를 지어서 죄인이 되는 것이 아니라, 죄인이기에 죄를 짓는 존재라는 것이다. 말하자면, 웨슬리는 모든 사람이 죄 안에 있으므로 구원이 필요하다고 역설한 것이다.
그러므로 웨슬리의 구원론은 천로역정의 주인공처럼, 죄의 심연에 빠진 인간이 거기에서 헤어나와 구원의 완성을 향해 나아가는 한 편의 드라마를 연상시킨다. 특히 웨슬리는 죄를 죄의 형벌, 죄의 세력, 죄 자체로 분석하여 구분하면서, 칭의와 중생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죄 자체에 대한 처리까지를 구원으로 봄으로써, 성화에 무게중심을 둔 구원론을 전개한다.
이처럼 성화에 초점을 맞춘 웨슬리의 구원론은 인간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한국교회는 칭의에 초점을 둠으로써, 믿음과 행위를 배치되는 것으로만 여겼고, 이로 인해 칭의 이후의 삶에 대한 깊은 성찰이 부족하였다. 이것이 오늘 한국교회를 불신의 대상으로 만든 원인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런 점에서, 인간의 삶 전체와 구원의 과정을 연결시키는 웨슬리의 구원론은 한국교회의 구원론을 수정 혹은 보완해 주어, 한국교회로 신앙적 삶의 차원을 회복하도록 도와주는 좋은 틀이 되리라 생각된다.
If the gospel is the heart of Christianity, and if the gospel sums up the whole of the Bible, we can say that it refers to the doctrine of salvation. For the Bible was made and still exists for salvation. Thus the gospel and salvation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For Wesley, salvation is the greatest important concept of Christianity because he think that the Bible proclaims salvation as the most precious value of all. In this context, salvation about which he speaks is not one sided, but wholistic. For he says that salvation should contain the whole of salvation from prevenient grace through justification and new birth to perfect sanctification. And he develops it in the name of the order of salvation. It is paralleled with the whole process of human life because it should be realized throughout human life.
In fact, it is not easy to see theologians who speak about the order of salvation in a great detail like Wesley. Furthermore, his doctrine of salvation maintains the balance between Christology and Pneumatology by emphasizing both the crucified Christ for us, and the Christ indwelling in us, that is, the Holy Spirit.
Therefore,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exactly tells us what the gospel is. Thus it is helpful and useful for today's Korean Church which tends to concentrate on Justification and to overlook the whole process of human life. So I believe that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can correct and supplement the wrong salvation theory of Korean church. For Wesley’s doctrine of salvation harmonizes biblical salvation with life as a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