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조국 백서’라 불리는 <검찰 개혁과 촛불 시민(2020)>과 ‘조국 흑서’라 불리는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2020)>를 대상으로 텍스트 속에 드러난 분열 양상을 체계 기능 언어학적 분석을 통해 구체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르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 중에서 ‘언론’을 다루는 부분을 발췌하여 계량적 양상과 질적 양상을 살펴 텍스트에 나타난 분열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계량적 분석과 타동성 및 어휘 양상 분석을 통해 <검찰 개혁과 촛불 시민(2020)>의 장르적 특성인 백서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2020)>에서는 팩트와 논리에 기반하고자 했던 저자들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검찰 개혁과 촛불 시민(2020)>에서는 ‘언론’의 문제를 언론 그 자체로 보는 반면, <한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나라(2020)>에서는 ‘언론’이 조작되고 만들어지는 객체라는 인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두 텍스트에 나타난 분열적 양상을 저자, 독자, 내용적 측면에서 제시하였으며, 두 텍스트에 나타난 감정적 어휘의 빈번한 사용, 경멸어의 과도한 사용 등이 우리 사회 분열을 가속화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pecify divisive aspects revealed in two texts, < prosecutorial reform and candlelight citizens (2020) > called "ChoKuk white paper" and < country that has never experienced (2020) > called "ChoKuk black paper", through systematic functional linguistic analysis. To this end, genr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division aspects shown in two texts were analyzed by looking a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roperties. Especially, I analyzed parts that dealt with the 'press' in priority.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transitivity analysis, and lexical analysis confirmed the nature of the White Paper, a genre characteristic of < prosecutorial reform and candlelight citizens (2020) >, and the authors' intention to base facts and logic in < country that has never experienced (2020) >. In addition, < prosecutorial reform and candlelight citizens (2020) > saw the cause of press problem as the media itself problem, while < country that has never experienced (2020) > revealed the perception that the media could be manipulated and created by the power. Based on this analysis, I presented divisive aspects of the authors, readers, and contentual aspects presented in the two texts, arguing that frequent use of emotional vocabulary and excessive use of pejorative words in both texts are accelerating our social di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