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의 자연 종간잡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tural Interspecific Hybrid between Rhodeus notatus and R. ocellatus
윤봉한 ( Bong Han Yun ) , 성무성 ( Mu Sung Sung ) , 김용휘 ( Yong Hwi Kim ) , 방인철 ( In-chul Bang )
DOI 10.35399/ISK.33.3.1
UCI I410-ECN-0102-2022-500-000730279

떡납줄갱이 Rhodeus notatus와 흰줄납줄개 R. ocellatus 간의 자연 잡종으로 추정되는 3개체를 충청남도 아산시 좌부동 곡교천의 지류인 온양천 일대에서 채집하였으며, 이들의 부모종을 명확히 판별하기 위하여 형태학적 및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자연 잡종 3개체의 체색은 등 쪽이 연한 녹갈색으로 떡납줄갱이의 연한 갈색과 흰줄납줄개의 진한 녹갈색의 중간 색상이었고, 등지느러미 앞쪽 상단 및 뒷지느러미 바깥 가장자리에 붉은색을 나타내는 면적은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중간 크기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부모종 간의 중간형질을 나타냈다. 계측 및 계수형질의 경우, 자연 잡종은 체장에 대한 가슴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 뒷지느러미 기점거리의 비와 두장에 대한 문장의 비, 양안 간격의 비, 미병장의 비, 미병고의 비 그리고 종렬비늘수 등에서 이들의 고유한 형질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핵 DNA의 rag1 유전자 영역에서 자연 잡종 3개체는 떡납줄갱이와 흰줄납줄개 간의 단일염기다형성 부위를 모두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의 cytb 유전자 영역을 이용한 분자계통도에서는 떡납줄갱이와 동일한 유전적 clade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석한 자연 잡종 추정 개체들은 암컷 떡납줄갱이와 수컷 흰줄납줄개 간의 종간 잡종으로 판별되었다.

Three specimens, presumed to be natural hybrids between Rhodeus notatus and R. ocellatus, were collected from Onyangcheon Stream area, Jwabu-dong, Asan-si, Chungcheongnamdo, the Republic of Korea, and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to clearly identify their parent species. The body color of the three natural hybrids was light greenish-brown on dorsal side, and the size of red area on the upper front of the dorsal fin and the outer margin of the anal fin generally showed intermediate characters between the parent species, R. notatus and R. ocellatus. Among the measurement and meristic characters, the ratio of prepectoral length and preanal length in the standard length, and the ratio of snout length, interorbital width, length of caudal peduncle and depth of caudal peduncle in the head length, and the number of longitudinal row scales were analyzed as the unique characters of natural hybrids. In the rag1 gene of nuclear DNA, the three natural hybrids were analyzed to be reflected all the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ites between R. notatus and R. ocellatus, and in the phylogenetic tree using the cytb gene of mitochondrial DNA, they formed the same genetic clade as R. notatus. Therefore, three specimens, presumed to be natural hybrids analyzed in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interspecific hybrids between female R. notatus and male R. ocellatus.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 과
고 찰
요 약
사 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