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이상은 20세기의 대표적인 작곡가로, 동아시아 음악의 철학, 미학적 측면을 서양 음악에 융합하고자 하였고, 서양 악기를 통해 동양적 음향을 구현함으로써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였다. 그의 작품 내부에는 한국의 전통적인 음악적 요소들이 고유한 방식으로 내재되어 있다. 특히, 윤이상은 한국의 전통악기의 특징들과 주법을 서양악기에 접목시키었고, 이를 통해 새로운 음향을 얻고자 하였다. 그는 한국의 악기 거문고, 가야금, 박(拍) 등의 주법이나 음향적 특징을 동종의 현악기인 바이올린 작품의 작곡 요소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지평을 넓혔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한국 전통음악을 세계에 알렸을 뿐만 아니라 바이올린 현대 주법의 확장에도 기여한 바 있다. 이에 본고는 윤이상의 바이올린을 위한 작품들 중 전통악기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바이올린 독주를 위한 <대왕의 주제>(1976), <대비(對比)>(1987) 두 곡을 선정하여 작품에서 등장하는 바이올린 특수주법을 연구, 분석하고 아울러 작곡가의 의도에 적합한 연주법과 표현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Yun Isang is one of a representative composers of twentieth century. He combines philosophical, aesthetic aspects of Eastern musical ideas and Western music compositional styles within his works, also he establishes his own music world by realizations the Eastern sound through Western Instruments. He Organized inventive values and aesthetic thoughts that based on Korea which his own country and Experiences of Japan, France, Germany and he performed that by way of create his distinct musical language. In his works, Yun has musical ideas with traditional Korean elements, Especially, he wanted to graft endemic features and techniques of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and gained an innovative sound. When he composes, he utilizes techniques and features of sound on Geomungo, Gayageum, Bak through the elements in the violin works. It is not only informed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world, but contributed expanding of violins’s modern techniques. This paper focuses on two works for violin that is exposed the features of traditional instruments which is < Königliches Thema für Violine Solo >(1976) and < Kontraste: Zwei Stücke für Violine Solo >(1987), moreover, analyzes the extended techniques of the two works and discusses the suitable method of performance and expression within playing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