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67.58
3.145.167.58
close menu
KCI 우수
한국 지방정부의 스마트시티 정책확산에 관한 연구: 스마트시티 서비스 도입을 중심으로
Diffusion of Smart City Policy in Korean Local Government: Focused on Smart City Service Introduction
탁성숙 ( Tak¸ Seong Suk ) , 권기헌 ( Kwon¸ Gi-heon )
한국행정학보 55권 3호 351-380(30pages)
DOI 10.18333/KPAR.55.3.351
UCI I410-ECN-0102-2022-300-000747336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방정부가 도입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정책확산의 발생과 정책도입의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226개의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확산 유형 및 도입현황 분석과 더불어 이산시간 사건사 패널로짓 분석을 실시했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도입에 있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역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서비스 격차를 완화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정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광역자치단체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도입은 기초자치단체의 서비스 도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가사업인 스마트시티 사업지 선정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국가차원의 스마트시티 정책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중심으로 변화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같은 정당 내에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도입한 지자체가 많을수록 스마트시티 서비스 도입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미래지향적 서비스의 개발과 도입을 위해서는 정책학습의 통로로서 정책관련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occurrence of smart city policy diffusion and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y introduction with the smart city service introduced by local governments in Korea. To this end,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diffusion type and introduction status of smart city services and a panel logit analysis of discrete time events for 226 basic local government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regional disparity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in the introduction of smart city services. From this, the implication that government-level policy is necessary to alleviate the servic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s was drawn. Second, the introduction of smart city services by regional local governments has been shown to affect the introduction of services by basic local governments, but the selection of smart city project sites, a national project, has no effect. This confirmed that the nation’s smart city policy should be changed to focus on providing services that the public can feel. Third, the greater the number of basic local governments that have introduced smart city services within the same political party,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smart city services. This implies that policy-related networks should be activated as a channel for policy learning for the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future-oriented services

Ⅰ. 서론
Ⅱ. 제도적 논의와 이론적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