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치매는 인지, 기분, 성격, 행동 및 신체적 기능과 관련된 다양한 증상을 보인다. 치매 노인을 위한 비약리적 중재로 애완 동물 형태의 로봇과 살아있는 동물을 이용한 중재가 시도되고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시험 (RCT)을 시행한 동물 형태의 로봇 보조 요법 (PRAT)과 살아있는 동물 보조 요법 (AAT)을 인지 기능, 동요, 우울, 삶의 질 (QoL) 등 4가지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한 메타 분석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 선정된 문헌은 영어로 작성된 RCT 연구이며, EMBASE, PsycINFO, PubMed 및 Web of Science의 네 가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였다. 체계적 문헌 고찰에는 PRAT에 연구 7편과 AAT에 대한 연구 7편, PRAT와 AAT 공통 연구 1편 포함되어 총 15개의 연구가 포함되다. 결과: 메타 분석 결과 PRAT와 AAT 중재 모두 치매 노인의 인지 기능, 우울증 및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문제행동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결론: 더욱 정확한 연구를 위하여 향후 정교하게 설계된 대규모 샘플을 포함한 RCT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Dementia presents a variety of symptoms related to perception, mood, personality, behavior, and basic functioning. Interventions using pet robots and living animals are being attempted a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Methods: This study is a meta-analysis that analyzes four variables (cognition function, agita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QoL) by selecting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pet robot-assisted therapy (PRAT) and animal-assisted therapy (AAT). Result: The literature selected was limited to RCTs written in English. Four databases were used in the search and selection therefore: EMBASE, PsycINFO, PubMed, and Web of Science. The systematic review included 7 articles on PRAT, 7 articles on AAT, and one article on both PRAT and AAT-for a total of 15 articles. Conclusion: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both PRAT and AAT intervention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cognition function, depression, and QoL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 However, they di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gitation. Future studies require well-designed and large-sample RCT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