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해외 프랜차이즈 사업자에 대한 가맹사업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in Application of the Franchise Business Act to Overseas Franchisor
박병주 ( Byeong Ju Park )
UCI I410-ECN-0102-2022-300-000766299

우리나라의 가맹사업은 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규율되고 있고, 가맹사업법은 가맹본부가 가맹점사업자의 영업지역을 침해하지 못하도록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성공적인 가맹사업을 운영하는 가맹본부는 영토의 범위적 한계로 인하여 해외 지역으로의 사업 확장을 자연스럽게 도모하게 된다. 가맹사업(Franchise)은 가맹본부(Franchisor)가 가맹점사업자(Franchisee)에게 상표 등의 영업표지의 사용을 허락하고 일정한 방식에 따라 가맹점을 운영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가맹계약의 내용에는 특정한 권리를 설정해주는 라이선스에 관한 사항이 포함될 수밖에 없다. 가맹본부가 자신의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자 해외에 진출하는 경우에도 라이선스에 관한 사항은 당연 포함될 것인데, 본 논문에서는 내용을 어떻게 포함시키고 누구와 어떻게 계약을 체결하느냐에 따라 그 계약유형을 직접적 가맹계약, 개발계약, 마스터프랜차이즈계약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고, 가맹본부는 여기에 더하여 합작투자계약 등을 함께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해외 가맹본부가 우리나라에 진출하게 되는 경우에는 가맹사업법의 적용을 받게 된다. 그런데 해외 가맹본부가 국내에 직영점이나 가맹점을 설치하지 않고 다른 국내 사업자에게 Sub-license를 설정해주어 국내에 진출한 경우에도 해외 가맹본부가 가맹사업법의 적용을 받아 정보공개서를 등록해야 하는지 여부가 실무상 문제가 된다. 이는 해외 진출 계약 형식 중 직접적 가맹계약과의 구조적 유사성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이지만, 해외 가맹본부가 국내 시장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없거나 미미하다면, 이러한 해외 가맹본부에 대하여 가맹사업법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은 없다. 만약 이 경우에도 가맹사업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논리의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한다면, 국내의 하위 가맹본부가 정보공개서를 등록한 것과 별개로 해외 가맹본부도 정보공개서를 등록해야 하는데, 같은 프랜차이즈 브랜드에 대하여 정보공개서가 불필요하게 이중으로 등록된다는 점만 보더라도 이러한 해외 가맹본부에 대하여 가맹사업법을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없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위하여 가맹사업법 제3조 제1항 제3호에 ‘국외 가맹본부가 국내에 직영점·가맹점을 직접 두지 아니하고, 국내 사업자에게 직영점·가맹점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권리를 부여하는 경우’를 추가로 신설하는 내용으로 가맹사업법을 개정할 것을 제안한다.

The franchise business in Korea is regulated by the Franchise Business Act, and which strictly regulates the franchisors from infringing the business area of franchisees. The franchisor, who is successfully operating their franchise, naturally plans to expand their business to overseas regions due to the limited territorial scope. In a franchise business, the franchisor allows their franchisees to use their trademarks and operate each franchise store in a certain manner. Thus the franchise agreements necessarily include the subject of license as part of the contract. This stays true even when the franchisor advances to expand its business areas to abroad, contents of licenses will be included in franchise agreements. The forms of agreements used by franchisor to advance overseas can be categorized by direct Franchise Agreement, Development Agreement, and Master Franchise Agreement. In addition, Joint Venture Agreement can also be a viable option. The Franchise Business Act is applied to overseas franchisors entering Korea. Even if the overseas franchisor does not set up a direct retail store or franchise store in Korea but instead grants a sub-license to another Korean business partner, overseas franchisor will contemplate whether or not it is necessary to register an Information Disclosure Statement. This stems from this form’s structural similarity to the direct Franchise Agreement. However, if there is little or no possible influence that the overseas franchisor can have on the Korean market, there would be no need to apply the Franchise Business Act to these overseas franchisors. If it is reasonable to argue that the Franchise Business Act should be applied to such overseas franchisor, the overseas franchisor who uses Master Franchise Agreement to give franchise store operational rights to their Korean business partner must also be obligated to register their the Information Disclosure Statement. In that case, Information Disclosure Statement for the same franchise brand would be registered twice without a necessary reason. Considering this irrational conclusion, there would not be a need to apply the Franchise Business Act to aforementioned overseas franchiso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that Article 3 of the Franchise Business Act should be amended so that Franchise Business Act does not apply to such overseas franchisor.

Ⅰ. 서론
II. 가맹사업의 의의 및 특성
III. 가맹본부의 해외 진출 시 계약 유형
IV. 국내 진출 해외 가맹본부의 정보공개서 등록의무 여부
V. 국내 진출 해외 가맹본부 가맹사업법 적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VI.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