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은행 내부통제제도의 현황과 과제
Current Issues and Challenges of Internal Control System in Banks
김종승 ( Jong Seung Kim )
UCI I410-ECN-0102-2022-300-000766279

내부통제제도는 은행의 건전한 경영과 소비자 보호 및 금융시장 전체의 안정을 위한 핵심요소에 해당한다. 2000년대 초반 은행법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던 은행 내부통제제도는 현재는 금융회사지배구조법을 비롯한 다수의 법률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다. 내부통제는 은행의 법률적 위험을 포함해 경영활동 전반에 관한 사항을 그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규제완화나 자율규제 분위기가 강화될수록 실효성 있는 내부통제제도의 구축이 더욱 필요할 수밖에 없다. 현행 제도에 따르면 은행은 내부통제기준을 가장 일차적인 기준으로 마련하고, 준법감시인, 위험관리위원회, 내부통제위원회 등을 통해 내부통제제도를 운영하여야 한다. 하지만 변화하는 금융환경에 따라 내부통제제도는 지속적으로 개선·보완되어갈 필요가 있으며, 특히 고위험 금융상품의 개발이나 판매과정에 있어서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적절한 내부통제절차가 반드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비대면 거래나 IT 기술의 발전에 대응하기 위한 내부통제환경을 마련하고, 내부통제제도의 안착을 위한 제재와 유인 책을 정비하는 일 역시 빼놓을 수 없다. 이 외에도 내부고발제도나 직무순환제 등 내부통제기능의 활성화를 위한 보완책과 함께 해외 영업점의 경우에도 내부통제 기능이 실효성 있게 작동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s a key element for the sound management of banks, the protection of consumers, and the stability of the financial market. The internal control system of banks, which was introduced through the revised Banking Act in the early 2000s, is now regulated under several laws, including the Financial Companies Governance Act, Financial Consumer Protection Act, etc. Internal control is related not only to legal risks but to the overall management of banks, and a more effective internal control system is needed as long as the deregulatory and self-regulatory atmosphere is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current regulations, banks should prepare internal control standards as the primary criteria and operate internal control system through the compliance officer, risk management committee, and internal control committee. However, internal control system needs to be continuously improved and supplemented following the changing financial environment, especially concerning the sale of high-risk financial instruments. Al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internal control environment to cope with the development of non-face-to-face transactions as well as information technology, and to prepare sanctions and incentives to settle the internal control system. In addition, the internal control function should be effectively operated for overseas branches, and measures such as whistleblower or job circulation system should be supplemented to vitalize internal control function.

Ⅰ. 들어가며
Ⅱ. 내부통제의 의의와 법적 근거
Ⅲ. 금융회사 지배구조법과 내부통제제도
Ⅳ. 은행 비예금상품에 대한 내부통제 모범규준
Ⅴ. 맺음말 -내부통제제도의 개선과제를 중심으로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