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표준주의 지침에 대한 지식, 감염노출에 대한 인식 및 감염노출에 대한 예방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6월 1일부터 10일까지이며, 충청지역의 간호학과 3, 4학년 1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Win 25.0을 이용하였으며, 서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관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주사침 찔림사고 경험과 표준주의 지침에 대한 지식이 감염노출에 대한 예방행위 수행정도에 대해 총 20.8%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결과 바탕으로 감염노출에 대한 예방행위 수행정도의 영향요인인 찔림사고 예방법 및 표준주의 지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standard precautionary guidelines, awareness of infection exposure, and preventive actions against infection exposure for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June 1 to 10, 2021, and 123 students in the 3rd and 4th grades of nursing department in Chungcheong area were targeted. IBM SPSS/Win 25.0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n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experience in needle puncture accidents and knowledge of standard precautions explained a total of 20.8% of the degree of preventive action against infection expos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a systematic and specific educational plan should be prepared to improve the knowledge of prevention methods and standard precautions, which are factors influencing the degree of preventive action against infection exp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