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의 열환경 개선을 위해 열환경, 찬공기의 생성·유동성 및 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지역 맞춤형 바람길 조성 방안을 검토하였다. 공간분석(spatial analysis), 원격탐사(remote sensing) 기법을 활용하여 창원시의 지표면온도,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 바람장, 경사도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바람길 분석모형을 구성하였다. 2020년도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창원시는 전반적으로 찬공기 생성에 유리한 토지피복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도심지 지역의 기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북창원 생활권, 진북면, 웅동, 웅천동 등 지역의 기온이 비교적 높으며, 산지지역에서 평균 풍속이 높고, 시가지에서 평균 풍속이 낮은 전형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에 따라 북창원 생활권, 구 창원 도심지, 호계리·평성리지역, 창포만 지역을 열환경 개선지역으로 도출하고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 내 찬공기 유입 및 주변 산지, 저수지, 공원 지역 등과의 바람 유동성 확보를 통해 기온저감 및 대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wind corridor construction by analyzing the thermal environment, cold air generation, ventilation,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 and establish the basis for specialized strategy in Changwon-si, Gyeongsangnam-do. Using spatial analysis and remote sensing techniques, surface temperature, land cover and land use, wind field, and slope were measured and through this, a wind corridor analysis model was construc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s of 2020, Changwon-si generally has land cover characteristics that are advantageous for the generation of cold air, but the temperature in most urban areas is the highest, and the temperature in areas such as north Changwon area, Jinbuk-myeon, Ung-dong, and Ungcheon-dong are relatively high. There was a typical trend of high average wind speed in mountain regions and low average wind speed in urban areas. Accordingly, the north Changwon area, the former Changwon downtown area, the Hogye-ri and Pyeongseong-ri areas, and the Changpo Bay area are derived as vulnerable areas to thermal environment, and various measures to reduce temperature and improve air quality that the inflow of cold air into the are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nd securing wind ventilation between the surrounding mountains, reservoirs, and park areas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