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미술치료 사례를 대상관계이론의 관점으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사례 내담자는 시설에 거주하며 출산을 앞둔 20세 여성으로 주 1회, 80분씩, 11회기 중 면담 회기를 제외한 총 9회기 단기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로 BDI, 투사 검사로 KFD, DAS를 사용하였고, 연구자료는 이야기, 일지, 축어록, 작품, 기관담당자의 보고, 대상관계이론 관련 문헌을 활용하였다. 미술치료 과정에서 발현된 내담자의 작품과 이야기를 대상관계이론 관점에서 고찰한 결과, ‘엄마가 없는 우울한 날들’을 살면서 ‘울타리가 필요했던 나’를 인식하였고, ‘내가 좋아하는 것과 아기오리가 있는 풍경’, ‘가장 슬프고 행복한 이야기, ‘내가 곁에 있을게.’라는 기억과 애도의 시간을 가졌다. 이후, ‘공부도 하고 여행도 가고, 아프지 마, 평생 사랑해’, ‘나도 부모가 있어요.’라는 회복과 일상과 연결되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친족간 성폭력 피해자의 부정적인 대상 관계가 변하여 자기 능력이 향상되고 현실 관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대상 관계 미술치료가 친족 성폭력 피해자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신의 외상을 진술하고 증언하게 하였으며, 미래를 기대하고 현재를 살아가게 하는 힘을 가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대상 관계 접근의 단기 미술치료가 친족 성폭력 피해자를 위해 치료관계와 목표, 치료사의 자세와 태도를 제시하고 미술치료 현장에 적용 가능성을 제안했음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art therapy cases of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 20-year-old woman who lived in a facility and was about to give birth to a child, and was conducted art therapy for nine sessions, excluding interview sessions, once a week, 80 minutes a week. As a research tools, BDI, KFD, and DAS were used as a projective test, and the research data used for analysis were a story, diary, verbatim record, works, and object relations theory literatur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orks and stories of the interviewees expressed in the art therapy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object relations theory, she recognized ‘me who needed a fence’ while living, ‘depressing days without a mother.’ and she had a time of memories and mourning, such as ‘my favorite and the scenery of a baby duck’, ‘the saddest and happiest story’ and ‘I'll be there’. Since then, the theme of recovery has been drawn up and linked to the daily routine of ‘study, travel’, ‘don't get sick, and love you forever’, ‘I have parents, too.’ First, these results changed the negative object relationship of victims of sexual violence, improving her self-ability and leading to changes in real relationships. Second, the object relations art therapy reduced the depression of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made her narrate, testify her trauma and have the power to live in the present while wating for the futu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art therapy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approaches to victims of relatives sexual violence presented therapeutic relationships, goals, and attitudes, and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linical art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