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ATS-539 초음파 팬텀을 이용한 경질 초음파 검사용 탐촉자의 정도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Control of Transvaginal Ultrasound Transducer using ATS-539 Ultrasound Phantom
박지혜 ( Ji Hye Park ) , 허영철 ( Yeong Cheol Heo ) , 김연민 ( Yon Min Kim ) , 한동균 ( Dong Kyoon Han )
UCI I410-ECN-0102-2022-500-000775721

산부인과 초음파 검사에서 골반 장기를 관찰하기 위해 고주파수의 경질 탐촉자를 이용한 검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임상에서는 경질 탐촉자의 정도관리가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으며 평가 기준이 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산부인과용 초음파 장치 20대를 대상으로 58개의 경질 탐촉자와 20개의 곡면 탐촉자를 ATS-539 표준팬텀에 적용하여 각각의 영상을 획득 한 후 정량과 정성적으로 측정하였다. 정량측정은 종측정, 횡측정, 국소영역, 정성측정은 불응영역, 축방향/외측방향 분해능, 예민도, 기능적 해상도, 회색조와 동적범위를 실시하였다. 정량적 통계 분석 결과 횡측정, 국소영역에서 두탐촉자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정성적 비교 분석 결과 예민도, 기능적 해상도에서 차이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탐촉자 간 갖는 주파수의 차이와 탐촉자의 주사 기하학의 차이로 발생 한 것으로 사료된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토대로 횡 거리 평가의 허용 범위는 10%(±8 mm)으로 상향, 예민도의 허용 범위는 삼사분위(75%) 수준인 12 cm깊이인 6개까지 관찰, 기능적 해상도의 평가의 허용 범위는 삼사분위(75%) 수준인 6개(12cm), 6개(12cm), 11개(11cm), 9개(9cm), 6개(6cm)까지 관찰, 회색조와 동적범위의 표적의 깊이를 4cm 깊이의 50%인 2 cm 깊이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게 표적을 추가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연구 결과를 통해 산부인과용 경질 탐촉자의 정도관리 평가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가 향후 경질탐촉자 전용 팬텀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Demand for examinations using transvaginal transducer with high frequencies is increasing to observe pelvic organs in gynecological ultrasound tests. However, the quality control of the replacement probe in clinical trials is not properly implemented and the evaluation criteria have not been established. Therefore, 58 transvaginal transducers and 20 convex transducers were applied to the ATS-539 ultrasound phantom for 20 ultrasound devices currently in clinical use to obtain their respective images and measure them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quantitative measurements, vertical measurement, horizontal measurement, and focal zone and qualitative measurements, dead zone, axial·lateral resolution, sensitivity, functional resolution, gray scale·dynamic range were performed.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ransducers in the lateral measurement and local area (p<0.05).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showed differences in sensitivity and functional resolution. This occurs due to the difference in frequency between transducers and the transducer's injection geometry. Based on the above experiments, the tolerance for horizontal measurement is raised to 10% (±8 mm), the tolerance for sensitivity is observed up to 6 cm deep, which is 12 cm deep,which is the level of the third quartile (75%). The permissible range of functional resolution is up to 6 (12 cm), 6 (12 cm), 11 (11 cm), 9 (9 cm), 6 (6 cm) target, which is the level of the third quartile (75%).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adjust the depth of targets in gray scale·dynamic range to measure at a depth of 2 cm, which is 50% of the depth of 4 cm. As above, 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transvaginal transducer for use in the past have been propos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of phantom exclusively for transvaginal transducer in the future.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