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인문역사의 발전 속에서 예술과 종교는 출현할 때부터 상호 인과·촉진 관계였다. 한편으로 예술이 가진 실용적 기능은 종교적 표현상의 예술적 사용 취향을 결정하였다. 회화예술은 이미지 형식을 통해 인간의 감각에 작용하였으며, 종교적 교리를 전파함에 있어 직관적 이미지화 효과를 가져왔다. 이에 회화예술은 필수적인 ‘도구’가 되었다.
교리의 내용을 설명함에 있어, 예술은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데 적합한 직관적인 이미지 형태이자 대체할 수 없는 작용을 하여, 신자들이 종교와 교리의 내용 및 정신에 대해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종교는 예술에 창작이념을 제공하였으며, 더 많은 소재와 창작 공간 찾아냈다.
본 논문은 영락궁 벽화와 비잔티움 벽화의 예를 들어 중·서방의 종교적 벽화를 비교하였다. 제1장 서론에서는 주제를 선정한 배경과 연구 현황을 서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영락궁 벽화와 비잔티움 벽화의 소재내용과 사상적 차이를 비교한 후 공간구조와 선의 활용, 색채표현의 형식 이 세 가지 표현방식의 차이를 통해 중·서방 종교 벽화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다차원적으로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중·서방 종교 벽화 조형 언어의 응용을 《中华韵》창작에 적용하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결론 부분으로 본 논문을 총결하며 영락궁과 비잔틴 벽화 연구가 오늘날 벽화 창작에 갖는 현실적 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In the long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humanity, art and religion have had a relationship of mutual cause and effect and mutual promotion since their appearance. On the one hand, the practical function of art determines its use orientation in religious expression. As a painting art in the form of images on people's senses, in the dissemination of religious, doctrine has played an intuitive visualization role of effect. Thus, it has become an indispensable "tool". In terms of explaining the content of dogmas, art plays an intuitive and visualized form suitable for people to accept and irreplaceable role, enabling believers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not only about religion, the content but also spirit of dogmas. In terms of explaining the content of dogmas, art plays an intuitive and visualized form suitable for people to accept and irreplaceable role, enabling believers to have a deeper understanding not only about religion, the content but also spirit of dogmas.
This paper compares Chinese and Western religious murals by taking the murals in Yongle Palace and Byzantium as examples. In the introduction part of the first chapter, I first introduced the background of the topic and the research status. Then in the second chapter, I first compared the differences in subject matter, content and thought between the murals of Yongle Palace and Byzantine fresco, and then from the space structure, the use of lines and the form of expression of color. The differences of these three forms of expression can be used to explo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Western religious murals from multiple dimensions. In the third chapter, I will discuss how to apply the modeling language of Chinese and Western religious murals in the creation of The Rhyme of China. In the final part of the fourth chapter, I summarize the whole text and deeply analyze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study of the Yongle Palace mural and Byzantine mural to the mural creation to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