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22.41.80
3.22.41.80
close menu
}
KCI 등재
‘구독’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Subscribe'
이지용 ( Lee¸ Ji-yong )
탐라문화 67권 331-355(25pages)
UCI I410-ECN-0102-2022-900-000784557

최근 영상매체를 기반으로 하는 플랫폼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구독’이라는 단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때 사용되는 ‘구독’의 의미는 한국어 사전에 제시되어 있는 기존 의미로 해석된다고 보기는 어렵다. 한국어 사전에서는 한자가 지니는 의미 그대로인 ‘사서 읽다’로 그 의미를 기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독’의 의미가 어떠한 양상으로 확대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먼저 현재 이 단어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는 매체의 원어인 영어 단어 ‘subscribe’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 ‘구독’과 달리 ‘subscribe’는 다양한 의미로 확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기본의미에서도 한국어 의미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구독’이라는 단어가 확대된 의미로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현상은 환유적 원리에 의해 언중들이 이를 해석하여 수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독’에는 이러한 환유적 원리뿐만 아니라 은유적 원리도 적용되고 있는데, 이는 ‘구독경제’라는 경제 전문용어와 관련이 있다. 이 용어에 드러나는 ‘정기배송’이라는 의미를 언중들이 이해하고 수용하는 현상은 은유적 기제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인지의미론의 환유와 은유적 기제를 토대로 ‘구독’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구글트렌드와 Trends21을 통해 관심도 및 사용 빈도를 살펴보았으며, 신어에 민감하고 새로운 매체에 유연성 있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해 ‘구독’의 실제 사용 양상도 파악해 보았다. 인간은 변화하는 환경에서의 새로운 경험을 기존 단어 형태에 적용하기 위해 환유 및 은유와 같은 인지적 기제를 사용한다. 본고는 의미적 신어로서 ‘구독’이라는 단어의 의미 확장 양상과 원리 및 실제 사용양상을 분석하여 이러한 특성을 확인해 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Recently, as the use of platforms based on video media has become common, the use of the word ‘subscription’ is increasing. The meaning of ‘subscription’ used in this case is difficult to interpret as the existing meaning presented in the Korean dictionary. This is because the current Korean dictionary describes the meaning of ‘subscribe’ as ‘buy and read’ as the Chinese characters have. In this study, in order to examine how the meaning of ‘subscribe’ is expanding, the meaning of the English word ‘subscribe’, which is the original language used by the media currently actively using this word, was examined. Unlike Korean ‘subscribe’, ‘subscribe’ has been expanded to various meanings,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basic meaning is different from that of Korean ‘subscribe’. Despite these differences, the phenomenon that the word 'subscription' is actively used in an expanded sense is because the words are interpreted and accepted by the metonymic principle. In addition to these metonymic principles, metaphorical principles are also applied to 'subscription', which is related to the economic terminology of 'subscription economy'. The phenomenon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 meaning of ‘regular delivery’ in this term can be said to be due to a metaphorical mechanism.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ubscribe' was analyzed based on the metonymy and metaphorical mechanism of this theory of cognition. In addition, Google Trend and Trends21 looked at the level of interest and frequency of use, and surveyed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who are sensitive to new languages and flexible in new media to understand the actual use of 'subscribe'. Humans use cognitive mechanisms such as refraining and metaphor to apply new experiences in changing environments to existing word form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e sense of the study in that it check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d 'subscription' as a semantic neologism by analyzing the meaning expansion pattern, principle, and actual usage pattern.

Ⅰ. 서론
Ⅱ. 사전에 기술된 ‘구독’의 의미
Ⅲ. ‘구독’의 의미 인식 양상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