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노래를 배울 때 가사를 보는 것이 그 배운 노래를 회상하여 부르는 것에 미치는 영향을 인지적 부하의 관점에서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미국 중동부에 있는 한 대학에서 이루어졌고, 오디션을 통해 선발된 합창단 단원 가운데 스물 여섯 명의 단원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참가자들은 컴퓨터를 통해 미리 녹음된 설명을 들으면서 개별적으로 노래 한 곡을 배웠다. 참가자 중 한 그룹은 노래를 배우는 동안 컴퓨터 화면을 통해 가사를 보았고, 다른 그룹의 참가자들은 빈 화면을 보았다. 참가자의 노래 회상 정확도는 음정과 리듬, 가사 면에서 평가되었다.
음운작업기억을 통제한 다변량 공분산분석의 결과 가사를 보지 않았을 때는 음악 전공자가 비전공자보다 배운 노래를 보다 정확히 기억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사를 보았을 때는 두 그룹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후속분석 결과 가사를 보는 것이 음악 비전공자에게는 음정과 리듬을 회상하여 부르는 것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래의 가사 정보를 청각과 시각을 통해 이중으로 제시하는 것이 음악 전공자에게는 불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음악 전공자는 비전공자보다 음악과 가사를 보다 통합된 방법으로 처리하고, 보다 나은 청각적 역량을 갖고 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전공자에게는 가사 정보의 이중 처리가 청각 채널의 인지적 부하를 줄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어려운 노래를 가르칠 때 가사를 보여주는 것은 적어도 음악적 전문성이 낮은 젋은 성인 학습자에게 있어서는 인지적 부하를 줄이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hen learning a song aurally, verbal information (i.e., lyrics) and musical information (e.g., pitches and rhythm) are processed through the aural processor (aural channel). If a song has much information, only using the aural channel might cause cognitive overload thus hindering one’s ability to learn the song. However, if the learner sees the lyrics, verba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dually - aurally and visually. This dual processing of verbal information might reduce cognitive load in the aural channel, leading to more capacity to process music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visually presented lyrics on song recall from a cognitive load perspective. Twenty-six members of auditioned choirs at a major mid-Atlantic university in the U.S. learned a difficult song individually through prerecorded aural instruction via computer: While learning the song, one group saw the lyrics and the other group did not. Participants’ recall accuracy of the learned song was assessed regarding pitches, rhythm, and lyrics. Multivariate analyses of covariance controlling for phonological working memory revealed that music majors recalled the song better than non-music majors when not seeing the lyrics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when seeing the lyrics. Further analysis revealed seeing the lyrics was beneficial for non-music majors in recalling pitches and rhythm, but not beneficial for music majors. Presenting verbal information dually might be redundant for music majors; they might process musical and verbal information in a more integrated way and have more aural capacity. However, for non-music majors, the dual processing of verbal information might reduce their cognitive load in the aural channel, providing more capacity to process musical information. Showing the lyrics can be one way to reduce learners’ cognitive load while teaching a difficult song, at least for young adults with lower levels of musical expert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