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3, 4, 5, 6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인물의 현황을 인물 수, 대륙별, 성별, 나이별, 직업별로 분석하여, 인물 선정에 있어서 편중된 부분은 없는지 검토한 후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를 재구성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총 4권 중 4권 모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등장하는 전체 인물 수는 52명이다. 둘째, 인물을 6대륙으로 나누어 국적을 분석한 결과 아시아 대륙이 29명(60%)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성별의 경우 남성이 42명(86%)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성이 7명(14%)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고인이 42명(8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의 경우 9개의 대분류 가운데 ‘2.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가 31명(63.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인물의 성별 편중, 대륙별 편중, 직업별 편중 현상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morals (3rd, 4th, and 5th, 6th grade) textbooks by number of characters, continent, gender, age, and occupation, to examine whether potential biases in the selection of charact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co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A total of 4 elementary school moral text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 total of 52 characters appeared in these elementary school morals textbooks. Second, the analysis of nationalities, which divided people into six continents, revealed that 29 characters―the highest proportion (60%)―were from the Asian continent. Third, 42 (86%) of the characters were male and 7 (14%) were female. Fourth, the analysis of age group showed that the number of deceased characters was the highest with 42 (86%). Fifth, in the case of occupation, the 31 experts and related workers accounted for the largest share (63.2%) of the total.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gender, continental, and occupational biases in the characters depicted in elementary school morals text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