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의 설계와 방향
Design and directions of narrative education oriented toward the elderly generation
김지혜 ( Kim¸ Jihye )
독서연구 60권 263-297(35pages)
DOI 10.17095/JRR.2021.60.9
UCI I410-ECN-0102-2022-000-000793571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위기감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설정하기 위해 노년 정체성의 특성과 폴 리쾨르(P. Ricoeur)의 이야기 정체성 이론을 살펴보았으며, 2018년 국립국어원의 <어르신 대상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 적용>의 서사 부분 프로그램의 설계 및 내용을 소개함으로써 노인을 위한 서사 교육의 방향을 고찰하였다. 리쾨르의 서술적 정체성(narrative identity)에 따르면 서사는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그 이야기를 형상화하여 공유함으로써 새로운 자기 이해를 이룰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은 노년기의 정체성을 재확립하고,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2018년 개발된 국립국어원의 <어르신 대상 국어문화 프로그램 개발 및 시범적용>의 서사 교육 프로그램은 서사를 통해 노년의 삶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확립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나아가 노년기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 프로그램의 내용은 크게 네 가지 단계로 구성되었는데, 첫 번째 단계는 ‘‘나’를 돌아보기’ 단계, 두 번째 단계는 ‘노년과 마주하기’, 세 번째 단계는 ‘행복한 노년의 삶 설계하기’, 네 번째 단계는 ‘‘나’를 표현하기’이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서사를 매개로 ‘과거-현재-미래’라는 연속적인 삶의 서사를 의미화하고 이를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정체성을 긍정적으로 재정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서사 교육 프로그램의 시범 강의와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통해 향후 노년 세대 대상 서사 교육의 긍정적 역할을 기대할 수 있었다. 향후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은 폭넓은 노년 계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 여러 세대가 함께할 수 있는 쌍방향적 교육,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다각적인 교육이라는 방향성을 고려하여 발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a narrative education plan designed for the elderly generation allowing them to overcome physical, mental, and social crisis and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e of old age identity and narrativ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y of narrative identity by Paul Ricoeur. Meanwhile, it considered narrative education plans for the elderly by presenting the design and contents of a narrative program entitled “Development of programs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pilot application oriented toward the elderly”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8. According to the narrative identity of Paul Ricoeur, the narrative helps one attain self-understanding by allowing one to understand and share one’s life through the embodiment of the story. Therefore, narrative education for the elderly generation can be instrumental in helping the elderly discover their old age identity and increase their self-esteem. The “Development of programs of Korean language culture and pilot application oriented toward the elderly,” develop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n 2018, aimed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by establishing a positive awareness of old age life through narratives. This program largely consists of four stages: “looking back at myself,” “facing old age,” “designing a happy old age life,” and “expressing myself. The first stage of “looking back at myself,” the second stage of “facing old age,” the third stage of “designing a happy old age life,” and the fourth stage of “expressing myself.” Through awareness of “past-present-future” based on these stages, this program allows the elderly to express and reflect on themselves. Future narrative education for the elderly will be required to develop multifarious education oriented toward a range of elderly groups, interactive education, and multidirectional education applying diverse media which various generations can experience together.

1. 서론
2. 노년 정체성과 서사 교육
3. 노년 세대를 위한 서사 교육의 설계 사례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