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백제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의 매장과정 복원
The burial process of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s in Hansung Period of Baekje
임영재 ( Youngjae Lim )
호남고고학보 68권 90-114(25pages)
DOI 10.55473/JHAS.2021.68.90
UCI I410-ECN-0102-2022-900-000813215

횡혈식석실분은 추가장을 염두에 두고 무덤 내부로 출입이 가능한 구조로 조성된 묘제이다. 따라서 그 구조와 형태뿐만 아니라 추가장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발생하는 제반 행위도 중요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연구경향은 석실분의 연대와 계보, 형태적인 특성을 통한 역사적 해석에 집중되었으며, 추가장과 의례 흔적에 대한 해석은 부차적 설명에 그칠 뿐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진하였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발굴조사로 확인된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매장과정과 추가장, 의례에 이르는 매장과정 전반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복원을 시도하였다. 시신을 안치하는 관은 설치형 목관을 사용하였고, 전반적으로 다인장(多人葬)을 기본으로 한다. 한편 주구와 봉토 혹은 연도 폐쇄부 의례흔적 등이 확인되는데, 이는 종래의 주구토광묘나석곽묘에서 행해지던 의례 행위가 계승되거나 석실분이라는 묘제와 함께 새로운 의례행위가 도입된 결과로 구분하였다. 특히 습골과 개수장 행위로 석실 내 매장 기능을 더욱 확장하기도 하였다. 이를 염두에 두고 볼 때 일부 한성기 횡혈식석실분에서 행해졌다고 여겨지는 소위 ‘신라인에 의한 재사용’은 사실은 ‘추가장’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점을 피력하였다.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s served as memorial service structures constructed to allow access to the tomb for possible additional burials. Therefore, it is important not only the structures and forms of the tombs, but also various pertinent behavior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dditional burials. Nevertheless, research trends heretofore have focused primarily on historical analysis based on the eras, genealogi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chamber tombs, while the analysis on the remains of additional burials and memorial rituals have been topics of relatively lesser interest, restricted to secondary explanations. Give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s a comprehensive review and recovery of the burial process as a whole, including the additional burials and memorial rituals of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s from the Hansung period of the Baekje kingdom discovered by excavation research. Installation-type wooden coffins were used, with multi-burial systems being the norm. Meanwhile, traces of memorial rituals were identified in soil ditches and mounds as well as tomb entrances. They were interpreted to be the results of either a succession of rituals performed in soil ditch tombs or stone coffin tombs, or new rituals introduced along with stone chamber tombs. In particular, the burial functions of the stone chambers were expanded as a result of remodeling burials or the collection of bones.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e so-called "reuse by Silla," which is deemed to have occurred in certain Hansung-period corridor-style stone chamber tombs, from the perspective of “additional burials.”

I. 머리말
II. 매장과정의 복원
III. 매장과정의 복원과 그 의의
IV.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