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18세기 초 잉글랜드 급진주의 사상의 굴절 - 샤프츠베리 백작(The Third Earl of Shaftesbury)의 경우 -
The Inflection of English Radicalism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 The Case of the Third Earl of Shaftesbury -
윤석민 ( Yun Seok-min )
영국 연구 45권 69-102(34pages)
UCI I410-ECN-0102-2022-900-000628896

제3대 샤프츠베리 백작의 정치사상은 그의 조부인 제1대 백작의 그것과 함께 잉글랜드 급진주의 사상의 전통 속에서 고찰되어 왔다. 철학과 정치적 의제에 관련된 그의 출판물은 급진주의 사상가로서 그의 면모를 물론 잘 드러내지만, 그가 1688-9년 혁명 이후 형성된 잉글랜드 헌정 질서를 승인했다는 점을 들어 그를 급진주의자로 분류하는 데 반대하는 수정주의적 해석 또한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두 견해에 반대하며, 샤프츠베리를 급진주의 사상가로 간주할 수 있지만 급진주의라는 개념을 그것이 사용된 구체적 역사적 맥락 속에서 좀 더 정교하게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비록 샤프츠베리가 일생동안 개혁에의 열망을 한 번도 포기한 적이 없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급진주의자라는 명칭을, 역사가 에릭 홉스봄이 “혁명의 시대”라고 부른 19세기 유럽의 역사적 경험을 근거로 하여 그에게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미진한 부분은 그의 정치 사상에서 급진주의라는 레이블을 제거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그것의 다양한 면모를 자세히 재조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는 그의 미출간 서신을 꼼꼼히 들여다봄으로써 그의 급진주의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사이의 국가연합이 논의되던 시기 동안 이념적으로 굴절되어 현상하였음을 드러낸다. 그럼으로써 그의 급진주의 사상이 변용되는 순간마다 잉글랜드 국민주의에 대한 그의 고려와 강한 심정적 애착이 작동하고 있었음을 증명한다.

The political thought of the Third Earl of Shaftesbury has long been associated, along with that of his grandfather, the First Earl, with the tradition of English radicalism. Examination of Shaftesbury’s political and philosophical writings demonstrates his credentials as a radical thinker of the time; however, revisionists oppose this view, shedding light on his endorsement of the constitutional status quo as it was established after the Revolution of 1688-9. This essay rejects both interpretations, arguing that it is possible to consider Shaftesbury a radical thinker, but that the notion itself demands rethinking in its own historical milieu. While it is clear that Shaftesbury never abandoned reformist aspirations during his lifetime, it is anachronistic to use the notion as defined in the nineteenth-century European experience in what Eric Hobsbawm calls “the Century of Revolution.” What is long overdue in Shaftesbury studies is not so much to remove such a label as radicalism from his political thought as to throw important new light on its varieties. A closer examination of his unpublished correspondence reveals that his radicalism was frequently being inflected at some crucial historical moments ― particularly those relating to the national political debate on the union of England and Scotland before and after the passing of the Acts of Union in 1707. It also demonstrates that at the heart of such inflections lay his consideration of and adherence to English nationalism.

Ⅰ. 들어가며 : 연구 주제와 방법론
Ⅱ. 잉글랜드 급진주의 전통과 그 특수성
Ⅲ. 연합법 통과 전야 : 첫 번째 굴절
Ⅳ. 연합법 통과 전후 : 두 번째 굴절
Ⅴ. 나가며 : 연구사적 과제와 전망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