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초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은 전 세계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미국, 유럽, 남미 등 국가들에 비해 확진자와 사망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동북아시아 3국(한국, 중국, 일본)의 코로나19(COVID-19)의 경제적 영향을 추정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모색해 보고자 시도되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연산가능일반균형(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모형을 활용하였고 베이스라인(Baseline scenario) 시나리오는 세계은행의 2015년부터 2019년까지의 실측 데이터를 토대로 2021년까지의 예측치를 추정한 다음, 정책 시나리오(Policy scenarios)로 2020년 약 1년 기간 동안의 한국, 중국, 일본 각 국의 실제 실업률 변동분을 반영하고 선행연구에서 제시되었던 무역비용과 세계여행관광협회(WTTC) 보고서의 여행 및 관광업계의 소득 감소를 반영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GDP는 중국을 제외한 한국(-2.98%)과 일본(-5.3%), 그리고 나머지 국가들(-7.4%)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하지만 상황이 훨씬 악화되었을 경우 중국 또한 GDP가 감소세를 보여 현재의 코로나19가 지속되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그만큼 피해가 클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산업의 경우, 중국을 제외하고는 음식숙박업, 운송업, 여행 관광업, 여가 및 레저 관련 산업, 교육 서비스업 등의 분야 모두 산출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자영업이 많이 몰려 있는 분야라서 그만큼 가계에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한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3국의 코로나19 영향을 추정함과 동시에 자영업 비중이 높은 서비스 산업에 대한 영향을 실제 최근 데이터를 이용하여 파급효과를 추정함으로써 지원정책 입안 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coronavirus, which started in Wuhan, China, in early 2020, has had immense ramifications for the global community. This study undertakes to identify the economic impact of COVID-19 in North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where there are relatively few confirmed cases and deaths compared to that of other countries and regions such as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South America.
This study uses the Global Trade Analysis Project (GTAP) standard model developed by Purdue University and GTAP database Version 10 (the most recent). The baseline scenario estimated the projection values for 2021 based on actual World Bank data from 2015 to 2019. The policy scenario uses actual unemployment rates in Korea, China, and Japan in 2020. It also reflected the trade cost (20%)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and the 50% reduction in the travel and tourism industry's revenue presented in the November report of 2020 by the World Travel & Tourism Council (WTTC).
GDP declined in Korea (-2.98%), Japan (-5.3%), and the rest of the world (-7.4%), excluding China. However, if the situation worsens (scenario 2), China will experience a decrease in GDP, and the longer COVID-19 continues, the greater the damage will be. In the service industry, except for China, output decreased in almost all sectors such as accommodation andfood, transport, travel and tourism, recreation and leisure activities, and education. In the case of Korea, as many self-employed businesses are concentrated in these sectors, the damage is expected to be devastating for households.
Existing studies mostly focus on the macroeconomic impacts of infectious diseases. However,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for service industries with a high proportion of self-employment using recently published data to reflect the current situation as closely as possible.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when formulating relevant responses and relief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