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지역 폭염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를 위해서는 토지이용의 총량적 이해와 더불어서 토지이용의 공간적 위치분배와 폭염현상과의 관계성 이해도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군집개발과 파편화된 개발이 폭염일수와 순위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주요연구방법으로는 형태학적공간패턴, 공간자기상관성, 스피어만상관성 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 광주, 울산, 부산, 대전광역시이며 폭염지표는 30년간 연간폭염일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군집개발 유무보다는 나홀로 개발 등의 파편화개발방식이 폭염에 부정적이라는 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곧 개발형태가 폭염과 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To better understand the heat wave phenomenon in the urban areas, it is desirabl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allocation of land use and the heat wav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ranking correlation between heat wave days and developed types, specifically, core and islet developments. The methods employed are morphological spatial pattern, spatial autocorrelation, and spearman ranking correlation analyses by using the 30-year annual heat wave day records for the five metropolitans. This research indicates that a fragmented development pattern including islets has mostly negative effects to the urban heat wave phenomenon. It means there is a relation between development pattern and heat w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