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지역어 어휘의 의미 분화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differentiation in Korean regional words
정유남 ( Cheong Yunam ) , 최창원 ( Choi Chang-won )
겨레어문학 66권 33-59(27pages)
DOI 10.35421/KNLL.66.2
UCI I410-ECN-0102-2022-700-000646852

이 연구는 지역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의미 분화 양상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지역어 어휘를 대상으로 어휘의미론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의미 분화 양상을 고찰하였다. 지역어의 의미 분화 양상은 지역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나타나는 데 어휘의 의미가 같은데 형태가 다른 경우, 어휘의 형태가 같고 의미가 다른 경우, 어휘의 형태와 의미가 다른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표준어와 비교하여 의미가 같고 형태가 다른 경우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개념을 나타내는 유의 관계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의미가 다르고 형태가 같은 경우는 동음이의어로도 볼 수 있으나 어원적으로 동일하거나 의미적 유연성이나 근접성을 기준으로 한 어휘소의 다의 관계로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의미가 다르고 형태도 다른 경우는 음운이나 형태 변화에 기인하여 의미 분화가 나타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mantic differentiation patterns in Korean regional words. This study examined the patterns of semantic differentiation by applying lexical semantic methodology to regional words. The patterns of meaning differentiation of regional words are reflected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regions, and the words classified as three types, firstly, same meaning-different form, secondly, same form-different meaning, thirdly, different meaning-different form patterns of words. They reflect the synonymous relation, polysemous relation, and heteronomous relation betwee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vocabulary and regional vocabulary. First of all, the meaning is the same and the form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it represents the synonymous relation. Next, the meaning of words is different and the form of words is the same, it represents homophonic or polysemous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words based on etymological identity or semantic relation. Finally, the meaning of words is different and the form of words is different, the meaning is differentiated due to phonemes and morphological changes in vocabulary.

1. 들어가는 말
2. 문제 제기 및 연구 방법
3. 지역어 어휘의 의미 분화 양상
4.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