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제주 헬스투어리즘 모델 정립을 위한 관광자원 경쟁요인 분석 - 의료간섭 기반 위계공간을 중심으로 -
Study on Competitive Factors of Tourism Resources for Establishment of Jeju Health Tourism Model -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Space Based on Medical Interference -
김효 ( Hyo Kim ) , 정헌규 ( Heonkyu Jeong ) , 김민철 ( Mincheol Kim ) , 최용복 ( Yong-bok Choi )
DOI 10.11108/kagis.2021.24.2.029
UCI I410-ECN-0102-2022-500-000650498

세계적 고령화 현상과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로 인하여 새로운 관광 형태인 헬스투어리즘은 전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헬스투어리즘의 경쟁 요인을 분석하고 이에 맞는 제주지역 헬스투어리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통해 헬스투어리즘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경쟁 요인 도출, 그리고 의료간섭 위계공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였다. 이어서 제주 지역 관광, 의료, 정책에 관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제주지역 헬스투어리즘의 경쟁 요인을 분석 한 결과, 제주지역 헬스투어리즘은 건강 서비스 공간보다 자연 치유 공간에서 중요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지역 헬스투어리즘은 자연치유공간과 비의료치유공간을 기반으로 자연자원, 치유자원, 활동자원 등 3가지 관광자원을 활용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global aging phenomenon and new lifestyles have a worldwide attention to the new tourism form of health tour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uggest the competitive types of health touris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theoretical base on the concept and type of health tourism and hierarchical spatial types such as medical space, semi-medical space, non-medical space, and natural healing space, based on medical intervention was establish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professionals in Jeju area about tourism, health care, policy.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competitiveness advantage factors of Jeju health tourism, Jeju health tourism was confirmed to have higher importance in the natural healing space than the health service center space. Three kinds of resources such as natural resources, healing resources, and active resources of Jeju type health tourism were derived and applied to two hierarchical spaces, natural healing space and non-medical healing space, based on medical intervention.

서 론
연구의 범위와 방법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분석 결과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