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폭염기 저층주거지 골목길의 주민 체감온도 분포 특성 연구 - 서울시 동작구 본동 일대를 대상으로 -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Sensible Temperature(ST) in the Low-rise Residential Alley - For the area around Bon-dong, Dongjak-gu, Seoul, Korea -
배웅규 ( Bae Woongkyoo ) , 최준혁 ( Choe Jun-hyeok )
DOI 10.36466/KLC.13.1.4
UCI I410-ECN-0102-2022-500-000672867

본 연구는 극심한 고온현상을 일으켜 사회·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폭염기에 취약한 저층 주거지를 대상으로 온도 저감 및 열 환경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24시간 동안 온도·습도 측정을 통해 시간대별 온도분포 형태와 골목길에서 거주민의 체감온도지수를 분석하였다. 온도분포 형태의 특성은 첫째, 기온은 주간에 28∼39℃로 폭넓게 분포하나 야간은 25℃∼28℃로 비교적 일정했다. 둘째, 24시간 평균기온은 29.2℃이고, 주간 32.0℃, 야간 26.5℃였다. 셋째, 야간 모든 지점은 25℃ 이상이며, 간선도로변이 녹지변에 비해 1℃ 이상 높았다. 넷째, 주간 고온지점은 3개소(3, 6, 10지점)이고 저온온도 지점도 3개소(1, 7, 9지점)이다. 다음으로 체감온도 지수를 분석한 결과 첫째, 취약계층 체감온도지수는 야간보다 주간, 노인보다 어린이가 더 높은 단계를 보였다. 둘째, 골목길 유형과 관계없이 외부보다 내부 골목길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계로 분석되었다. 셋째, 녹지 근접골목의 단계는 야간에는 차이가 없으나, 주간은 지형 특성에 따라 오히려 높게 조사되었다. 넷째, 간선도로변은 내부에 비해 낮으나, 상업기능 및 공공시설이 분포된 골목은 높게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저층주거지의 24시간 온도·습도 현황을 규명했다는 점과 열환경 분포에 따른 주민건강 취약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 sensible temperature index(STI) of residents in alleys through 24-hour temperature and humidity measurements to provide suggestions for reducing temperature and improving thermal environment in low-rise dwellings vulnerable to extreme high temperatures. First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ype was widely distributed at 28-39℃ during the day, but at night, it was relatively constant at 25℃ to 28℃. Second, the average temperature is 29.2℃ for all day, 32.0℃ during the daytime, and 26.5℃ at night. Third, all points at night are above 25℃, and the side of the main road is more than 1℃ higher than the greenside. Fourth, there are three hot spots(3,6,10) and three cold spots(1,7,9) during the day.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I, First, STI of the vulnerable class showed a higher level of daytime than nighttime and children than the elderly. Second, regardless of the hierarchy of alleyways, internal alleys were analyzed to be higher than external alleys. Third, the level of the greenside alleys did not vary at night, but the daytime was higher depending on the terrain characteristics. Fourth, the side of the main road is lower than the inside, but the distribution of commercial functions and public facilities is highly analyz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identified the 24-hour micro-climate status of low-rise residential areas and confirmed the vulnerability of residents’ health due to the distribution of thermal environment.

1. 서론
2. 폭염과 저층주거지의 현실 및 선행연구 검토
3. 연구대상지 선정과 분석의 틀
4. 대상지 온도·습도 분석 및 골목길 체감온도 지수 도출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