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55
216.73.216.55
close menu
KCI 등재
왕소군(王昭君) 형상의 문학적 전형(轉形)
The Literary Transformation of Wang Zhaojun’s Figure
서주영 ( Seo Joo-young ) , 권응상 ( Kwon Ueng-sang )
인문연구 95권 37-69(33pages)
DOI 10.21211/JHUM.95.2
UCI I410-ECN-0102-2022-000-00067224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왕소군(王昭君)은 B.C. 33년 한원제(漢元帝)가 한나라와 흉노(匈奴)의 화친을 위해 흉노의 호한야선우(呼韓邪单于)에게 하사한 여성이다. 그녀보다 앞서 화친을 목적으로 외국에 보내진 14명의 여성은 모두 한나라 황실의 공주라는 신분이었고, 그녀들 가운데에는 화친 여성 문학의 시작과 화친 여성 서사의 완결성을 갖춘 여성도 존재했다. 그런데, 왕소군은 이들보다 신분도 낮고, 구체적 서사도 허약하지만, 화친 여성을 대표하는 인물이 되어 중국 여성을 대표하는 지위를 가지게 된다. 왕소군이 이렇게 될 수 있었던 이유는 끊임없는 문학적 재서사의 과정을 거치면서, 미녀라는 통속적 가치 외에, 역사적·민족적 의의를 부여받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왕소군을 기록한 문헌에 존재하는 역사적 사실의 전복과 비극적 여성상의 재창조라는 부분을 분석함으로써, 역사적 존재가 문화적 가치에 의해 전형(轉形)되어 문화를 대표하는 여성으로 수용되는 것을 고찰하고 있다.

Wang Zhaojun is a woman who was send to King of Xiongnu, Huhanya for harmony between the Han and Xiongnu in 33 BC. Before her, all women sent to foreign countries for the purpose of her friendship were Han Dynasty princesses, and among them there are women who have the beginning of the literature of the Friendship and the positive completeness of the narrative friendship woman. Wang Zhaojun has a lower status than these, and the specific narrative is weak, but 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a friendly woman, she has become a creative material for literature, and as she has a representativeness that penetrates history, she is the rank of the four major beauty women in China. She became a representative of Chinese culture, because she was given her historical and national significance in addition to the popular value of beauty in Chinese culture. This paper examines the cultural archetype in which historical existence is transformed by cultural values a nd accepted as a woman representing oneself by analyzing the subversion of historical facts and re-creation of the tragic feminine image existing in the literature documenting Wang Zhaojun.

1. 서론
2. 왕소군 이전의 화친 여성
3. 왕소군의 역사적 형상과 의의
4. 왕소군 형상의 문학적 전형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