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은 일반교육보다 여러 가지 요인들에 있어서 인성을 함양하기에 불리한 환경에 놓여있기 때문에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은 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수교육에서의 인성교육 관련 논문 35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주제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 기준에 따라 연구동향을 분석하였고, 그 결론 및 제언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2014년 이후 특수교육에서 인성교육 연구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둘째, 연구주제는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연구와 지적장애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다. 넷째, 연구방법은 양적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향후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다양한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고, 연구대상에 있어서 유아 및 다양한 장애영역에서 연구가 활발해질 필요가 있겠다.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general education because special education is placed in a disadvantageous environment for developing character in various factors than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of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intends to provide basic data for cunducting research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according to standards by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for 35 paper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since 2014, interest in character education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has increased. Second, in the research topic,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were performed the most. Third, in the research subjects, elementary school research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were performed the most. Fourth, in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e most. As a suggestion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research on variou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ried out, and research on infants and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as a subject of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