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상공인 및 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요인인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학습지향성이 기업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실증 연구한 것이다. 국내 소상공인 규모는 전체 산업체의 89%를 차지하고 있으나 자금, 인력확보 등의 문제로 작은 기업의 경쟁력확보는 현실적으로 취약한 것이 사실이다. 컨설턴트로서 현장에서 경험한 바로 소상공인 및 소기업과 같은 작은 기업일수록 직원 한명 한명의 조직몰입이 기업의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우수한 인재를 고용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별화된 요소로 작은 기업에서도 기업가지향성과 시장지향성, 학습지향성과 기업의 성과 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면서 기업성과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핵심적으로 기업가지향성의 위험감수성과 학습지향성의 학습몰입이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 하였으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서도 역시 기업가지향성의 위험감수성과 학습지향성의 학습몰입이 조직몰입과 매개하여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결국 기업성과를 내는 중요한 변수임에도 작은 기업에서는 기업가지향성의 위험감수성과 학습지향성이 영향을 주지 못 했다는 것은 작은 기업일수록 학습지향성에 대한 중요성을 알면서도 학습에 대한 여건을 조성하지 못하고 있으며 결국 쉽게 경쟁력이 도태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조직의 규모와 취약성으로 위험을 감수하면서 과감한 도전할 수 없는 현실적 상황이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소상공인이 미래경영환경에 대한 학습을 보다 원활히 받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정부의 지원과 혹 실패를 하더라도 다시 창업에 도전할 수 있는 창업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한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study of how entrepreneur-oriented, market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which are the key factors necessary for a company’s continuous growth, have an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r small business owners and small businesses. But it is true that securing competitiveness of small companies is practically weak due to problems such as securing funds and manpow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orporate performance as a differentiating factor while verifying the effects between entrepreneur-oriented, market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even in small compan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isk taking of entrepreneur-orientation and learning commitment of learning orie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orporate performance, and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showed that entrepreneur-orientation risk taking and learning commitment of learning orientation were not significan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by mediating it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end, although it is an important variable in corporate performance, the risk taking and learning orientation of corporate orientation did not affect small firms. The fact that small firms know the importance of learning orientation but fail to create conditions for learning. In addition, it is interpreted that a realistic situation that cannot be boldly challenged while taking risks due to the size and vulnerability of the organization appeared as a result.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s efforts to support the conditions in which small business owners can learn about the future management environment more smoothly, and that even if they fail,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where they can challenge themselves aga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