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장년층 성인 200명을 대상으로 재취업의지, 사회자본, 긍정심리자본, 노화불안, 경제스트레스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노화불안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높을수록 노화불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경제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노화불안이 높을수록 재취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제스트레스는 재취업의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재취업의지에 영향요인을 자본적 개념(사회자본과 긍정심리자본)과 비교적 잘 다루지 않는 심리적 요인(노화불안과 경제스트레스)를 통합적으로 실증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사회자본은 사회참여자의 사회적·경제적 수준이 일치했을 때 효과가 있다는 점과 미래의 잠재적 걱정이나 우려에서 나타나는 노화불안은 예측이 가능한 경우 긍정적인 동기로 작용하여 장래의 취업을 위한 재취업의지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중장년층의 범위를 40세~64세까지 넓게 설정함으로써 연령대, 성별, 수득수준 등에 따른 세부적 차이를 상세하게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는 중장년층을 위한 재취업 정책수립과 재취업 등의 관련분야에서 실천적 개입방안과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variables that affect the willingness of middle-aged people to re-employment and to establish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200 middle-aged adults nationwide, consisting of reemployment will, social capi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ging anxiety, and economic stress measures.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ed, the higher the social capital,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and the higher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lower the aging anxiety. Third,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the higher the economic stress, and fourth, the higher the aging anxiety,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re-employment. Finally, economic stres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reemployment inten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ntegrated the capital concept (social capital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ging instability and economic stress) that do not deal with the reemployment will of middle-aged people.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capital works when social and economic levels match and aging anxiety arising from potential future concerns or concerns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can serve as a positive motivation for future employment.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did not reflect detailed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group, gender, and level of acquisition in detail by setting the range of middle-aged people from 40 to 64 years ol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practical intervention measures and basic data in related fields such as establishing policies for reemployment and reemployment for middle-aged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