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7
216.73.216.17
close menu
KCI 등재
영유아 어머니의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비교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Mothers of Infants
조유진 ( Jo Yu-jin ) , 하은혜 ( Ha Eun-hye )
DOI 10.17641/KAPT.24.2.2
UCI I410-ECN-0102-2022-100-000706311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어머니의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상향 사회비교와 하향 사회비교등 사회비교의 하위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수도권 및 부산에 소재한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재학 중인 영유아 어머니 2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어머니의 SNS 중독경향성이 사회비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SNS 중독경향성은 사회비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 어머니의 사회비교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비교는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어머니의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비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상향 사회비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 어머니의 사회비교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SNS 중독경향성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비교 중 상향 사회비교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omparis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depressive symptoms of the mothers of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9 mother with infant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Busa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NS addiction tendency and Social comparison,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SNS addiction tendenc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ocial comparison. Second, whe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ve symptoms, it was revealed that the level of Social comparis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pressive symptoms. Thir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upward social comparison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NS addiction tendency and depressive symptoms. In conclusion, this study verified that mothers of Infants with SNS addiction tendencies affects upward comparisons, thus leading to depressive symptom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