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대학의 SEA 보고 : 대학 SEA 관련지표에 대한 인식조사 및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SEA Reporting for Universities and Colleges : Focusing on SEA Measures and Implementation of SEA
이동규 ( Lee Dong-kyu )
UCI I410-ECN-0102-2022-300-000719427

대학 SEA 정보는 대학의 회계보고책임(accountability) 평가를 위한 결정적인 정보이다. SEA정보는 학부모의 자녀 대학진학에 관한 의사결정, 대학의 성과예산 편성 및 성과보고서의 작성, 개별대학의 회계투명성, 성과투명성, 경영투명성을 제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대학 SEA 관련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 SEA보고 도입을 위해 국내·외 관련 연구를 정리하고 대학 교직원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SEA지표를 선정하며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등 SEA 도입을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EA 개념을 정립하고, 우리나라 개별대학의 자체평가제도 및 고등교육 평가기관의 SEA 관련 정보 현황, 국내외의 SEA 보고와 관련된 연구를 조사하였으며 SEA 정보의 활용과 지표 등에 대한 대학 교직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문헌조사 결과 대학은 자체평가 및 대학정보 공시를 함에 있어 SEA에 관련된 여러 지표를 활용하고 있으며, 중앙일보,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한국사학진흥재단 등 대학평가기관의 평가지표에서도 SEA 지표가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국내의 대학 BSC 연구물에서도 대학성과에 관련된 지표가 제시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표들은 SEA보고라는 통일된 틀을 바탕으로 도출된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목적을 토대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SEA로의 통합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SEA 세부지표의 제정 필요성이 크다는 응답을 보였으며, 대학특성 변수로서 대학의 소재 지역, 대학규모, 대학유형, 대학소유구조 등을 고려하여 SEA보고의 틀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앞으로 대학의 SEA 정보가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SEA보고 및 관련 지표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바탕으로 비교 가능한 객관적인 SEA 측정치가 선정되어야 하며 대학이 공통적으로 발생주의 복식회계시스템을 적용하는 등 기본적인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University's primary function includes instruction, research and public servic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hose services cannot be evaluated by a single scale such as profit measure. SEA reports provide information about service efforts such as financial inputs & non-financial inputs, service accomplishments such as outputs and outcomes,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efforts and accomplishments such as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and explanatory information. Concept statement No.2 of GASB, "SEA reporting," includes ⓐ Measure of efforts, ⓑ Activity or process measures, ⓒ Outputs measures (quantity of the service provided), ⓓ Service quality measures (an evaluation of service), ⓔ Outcome measures, ⓕ Efficiency measures. Nowadays implementation of SEA reporting and MFR (managing for results) are irrevocable in not-for-profit organizations. Universities cannot be exceptions. In order to implement SEA reporting, universities and colleges should fix SEA measures, SEA reporting forma, and develop a systematic way of utilizing SEA information. Every information about inputs, outputs, results of services of universities should be collected and arranged in a systematic order. And through SEA information, users should be able to decide whether the university is efficient and effective or not, and evaluate the accountability of university and colleges. For implementing SEA report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es, this study surveyed research reports and articles on SEA about universities and colleges, and implemen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EA. Most of universities in Korea are evaluating themselves about their own performances every 2 years. And government is asking universities to submit and disclose performance information such as graduation rate, employment rate, retention rate, education costs per student, student number per professor, etc. Government also applies these performance information as a criteria for financial supporting to individual universities (formula funding). But this information was not systematic and not sufficient as a SEA rep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gree on SEA measures, construct SEA reporting forma, and establish systematic ways of utilizing SEA information. This study suggested SEA index and SEA reporting forma. Results of questionnaire suggest that most of respondents agreed o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EA reporting, and agreed on suggested SEA measures. As a conclusion, this study has presented SEA measures and reporting formula on the ground of literature study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suggested effective ways of utilizing SEA information.

Ⅰ. 서 론
Ⅱ. SEA의 이론적 배경
Ⅲ. 대학 SEA 지표
Ⅳ. 대학 SEA 정보욕구 분석
Ⅴ. 결 론
참 고 문 헌
<부록> 대학의 성과보고(SEA)에 관한 기초 자료 조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