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동유연화가 회계이익과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노동유연화는 기업의 비용을 절감하여 이익 및 기업경쟁력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기업가치가 증가한다는 긍정적인 입장이 있다. 반면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의 감소로서 기업경쟁력을 감소시키고, 결국에는 기업가치를 낮춘다는 부정적인 입장이 공존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동유연화의 사용 유무에 따라 노동유연성이 회계이익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2008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거래소(KSE)에 상장된 제조기업 중 12월 말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2,588개의 표본을 선정하였다. 노동유연성을 임금유연성, 수량적 유연성, 그리고 노동의 외부화로 구분하여 각각의 유연성이 회계이익(ROA, ROE) 혹은 기업가치(토빈Q)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임금 유연화는 기업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량적 유연성은 회계이익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기업가치에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량적 유연화 전략을 사용하는 기업의 경우에는, 수량적 유연성이 높을수록 회계이익은 감소하지만 기업가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노동유연화의 세부 유형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그동안 회계학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노동유연화에 관한 이론적 배경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둘째, 상반된 입장이 존재하는 노동유연화의 적용에 유용한 실증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동유연화를 연구하는 후속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influences of labor flexibility upon accounting earnings and firm values. A study on the viewpoint to labor flexibility has two stances. One is positive in that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its value increase by cost reduction. The other is negative in that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its value decrease due to decline of employment stability and productivity.
[Methodology] Accordingly, this study verifie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influence of labor flexibility upon between accounting earnings and firm value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orporate strategy for labor flexibility exists.
[Findings]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of all, quantitative flexibility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ccounting earnings. But quantitative flexibility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firm value. Second, quantitative flexibility in a corporate body applying the strategy of quantitative flexibility had a nega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s while quantitative flex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firm value.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rich implications as follows:First, the study had in-depth analysis on influences of labor flexibility which had been comparatively less dealt by analyzing influence of labor flexibility upon accounting earnings and the firm value, using detailed types and measured figures of labor flexibility. Second, this study provided concrete data about better application of labor flexibility through the empirical evidence on influences of each measured figure upon accounting earnings and the firm valu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information for the researchers in the future and be of help to further detailed study of the labor flex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