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신뢰 및 구매의도의 향상을 위한 제품 정보 페이지 레이아웃에서의 지각된 유용성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고령층 소비자를 위한 온라인 쇼핑 HMR 제품 중심으로
A Study of Improvement i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in Product Information Page Layouts - focused on HMR products in online shopping environment for elderly consumers
윤정우 ( Yoon Jungwoo ) , 이연준 ( Lee Younjoon )
DOI 10.47294/KSBDA.22.2.29
UCI I410-ECN-0102-2022-600-00052207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팬데믹(pandemic) 상황이 지속되면서,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는 더욱 다양한 HMR(Home meal replacement) 제품들과 더불어 고령층 소비자를 겨냥한 5세대 HMR 분야인 연화식 장르의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층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마켓에서 판매하는 익숙한, 그리고 익숙하지 않은 HMR제품들의 신뢰 및 구매의도의 향상을 위한 제품 정보 레이아웃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 및 연구목표는 제품 정보 페이지 레이아웃에서의 지각된 유용성을 활용한 고령층 소비자의 신뢰 및 구매의도의 향상이며, 이를 위해 고령층 소비자를 겨냥한 HMR 제품의 제품 정보 페이지가 담고 있는 제품 정보 레이아웃 타입의 지각된 유용성이 신뢰 및 구매의도로 이어지는 영향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지각된 유용성과 이에 따른 신뢰 및 구매의도에 대한 문헌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둘째, 온라인 HMR 제품 쇼핑에서의 제품 정보 페이지 중심의 사례분석이 이어졌다. 사례분석 결과, 온라인 환경에서 판매되는 HMR 제품들을 위한 세 가지 제품 정보 레이아웃 타입(이미지 중심 타입, 특징 중심 타입, 이미지와 특징 혼합형 타입)을 제시 하였으며, 셋째, 제시된 레이아웃 타입들을 적용한 실증조사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결과, 지각된 유용성은 고령층 소비자의 신뢰 및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미지와 특징 혼합형 제품 정보 레이아웃 타입이 익숙한 그리고 익숙하지 않은 HMR제품 모두의 제품 정보 페이지에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는 익숙하지 않은 HMR제품에서 더욱 확고하다. 따라서, 제품 정보 페이지의 제품 정보 레이아웃의 발전은 소비자의 제품 품질 신뢰 및 구매의도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고령층 소비자를 겨냥한 HMR제품들을 판매하는 온라인 스토어 구축의 기획 단계에서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As pandemic continues, diverse kinds of HMR(Home Meal Replacement) products are being introduced to online markets, and generation 5 of HMR targets the elderly consumers, with introduction of care food kind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product information page layouts that can support improvement of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for online sold HMR products for elderly consumers, in both familiar and unfamiliar menu kinds. The purpose and the aim of the study is to improve elderly consumers’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utilization of perceived usefulness in product information page layouts, and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rust due to perceived usefulness of product information layout types on product information pages that lead to purchase intention, and suggest product information layout types for online HMR products targeted for elderly consumers. Study method include, first, literature review on how perceived usefulness and its influence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have been reviewed, second, a case study focused on product information pages of online HMR shopping has been followed. As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three types of product information layout types (image focused type, feature focused type, and image and feature mixed type) have been suggested for online HMR shopping environment. Third,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product information page for both unfamiliar and familiar menu product kinds.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of elderly consumers. Furthermore, the image and feature mixed layout type for information page was most desirable, while the result is most pronounced among unfamiliar HMR menu types. Therefore, the study proved that with considerable improvement in information page layout types, an increase in trust or purchase intention among elderly consumers can be expe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work as a supportive resource during the planning stage of constructing online stores selling HMR products targeting the elderly consumers.

1.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2. Literature review
3. Case study
4. Method of the study
5. Test results
6.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