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성평등과 노인 세대 위협 인식의 예측 요인 검증
Verification of Predictive Factors for Gender Equality and Threat from Elder
김동심 ( Dongsim Kim ) , 주경희 ( Kyonghee Ju ) , 김주현 ( Juhyun Kim )
인문사회 21 12권 2호 1547-1562(16pages)
UCI I410-ECN-0102-2022-000-000545739

본 연구는 성평등 인식과 노인세대 위협 인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성, 가구원수, 연령, 학력, 소득)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 이를 예측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개인특성(미래세대를 위한 친사회적 태도, 삶의 만족도)을 밝혀내는데 목적이 있다. 온라인 조사를 통합 수합된 1,000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t-검정, ANOVA와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평등 인식은 성별, 가구원수, 연령대, 학력, 소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노인세대 위협 인식은 성별, 가구원수, 연령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성별, 연령은 성평등 인식을 예측하였다. 셋째, 성별, 연령별, 삶의 만족도는 노인세대 위협 인식을 예측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사회통합을 위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identifies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on gender equality and threat from elder. It was analyzed through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online survey data of 1,000 men and wome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nder equality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amily size, age, education, and income. Threat from elder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amily size, age. Second, Gender and age predicted gender equality. Third, gender, age, and life satisfaction predicted the threat from eld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discussions for future social integration were presented.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내용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