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수산물 식재료를 활용한 섬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Ways to Revitalize Island Food Tourism Using Seafood Ingredients
김성근 ( Kim Sung-keun ) , 김보성 ( Kim Bo-seong )
DOI 10.26840/JKI.33.1.59
UCI I410-ECN-0102-2022-900-000554126

관광자원은 관광 주체인 관광객으로 하여금 관광 동기나 관광의욕을 일으키게 하는 관광대상이다. 이러한 관광자원의 문화원형 분류 중 음식(농수특산물 포함)은 최근 급증한 ‘맛집 탐방’,‘먹방’,‘쿡방’등의 방송예능프로그램과 SNS상의 1인 미디어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수산물 식재료를 활용하여 섬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즉, 섬 관광과 어촌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해당 지역의 수산물 식재료를 활용한 섬 음식관광상품 개발을 제안한 것이다. 그 결과, 먹방과 쿡방을 활용하는 전략적 접근의 필요성, 섬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외국인 관광객 유치 전략 추진, 해양관광객의 어촌관광 동기분석에 따른 섬 음식관광활성화 전략 추진, 섬 및 어촌 지역 특정 수산물에 의한 지역브랜드 전략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섬 관광 활성화를 추진해야 하는 우리나라 어촌지역의 섬 음식관광은 아직까지 시작단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섬 음식관광에 대한 이해 부족뿐만 아니라 수산물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관광자원 및 그 특성에 대해 명확한 규명이 선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냥 단순하게 지역별 특화되지 않은 일반적인 수산물을 식재료로 활용한 음식들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어촌지역중심의 특징 없고 유사한 음식만이 방송과 언론, 및 SNS 등을 통해 도발적·과시적으로 소개되거나 일부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분석되고 있다. 최근 한류(특히 대장금)의 영향과 슬로푸드(Slow Food) 열풍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전통문화인 제철음식과 로컬 푸드(Local Food)가 세계각국의 잠재관광객들에게 관심과 애정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좋은 여건을 적극적으로 고려한 우리나라의 우수한 수산물 식재료를 활용한 외래 관광객 유치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섬음식관광에 대한 전략 개발이 미약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한류 콘텐츠인 수산물 식재료를 활용한 섬 관광산업 활성화 및 다변화된 섬 관광목적지 개발, 그리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서의 섬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단행본, 선행연구, 정부 간행물, 신문기사 등 문헌연구 등을 통해 수산물 식재료 활용 섬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 제안하였다. 그리고 수산물 식재료 활용 섬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제언하였다. 이는 최근 정부의 섬관광 활성화와 어촌관광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섬과 어촌이 새로운 관광지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섬 관광과 어촌관광은 고유의 해양자연자원을 활용해 관광·레저·스포츠 등의 여가활동을 즐기는 것 외에도 축제, 특산물, 음식 등의 지역문화를 담은 인문관광자원도 포함한다. 이로 인해 해양레저가 가능한 어항이나 수산자원과 해양자원이 풍부한 어촌공간에는 이미 많은 해양관광객이 찾아오고 있다. 하지만, 어촌주민의 입장에서 보면 해양관광자원을 발굴하고 섬 및 어촌 지역문화를 관광상품으로 만들어 시장에 내놓아야만 소득이 생긴다는 점에서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음식관광상품을 개발하는 일은 더욱더 어렵다는 점에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Tourism resources are tourism targets that motivate tourists. Among the cultural archetypes of tourism resources, food is attracting attention due to the recent rapid increase in broadcasting entertainment programs such as “famous restaurants”, “mokbang(Eating broadcasts)”, and “cookbang(cooking broadcasts)” and individuals on social medi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plan to activate island food tourism by using seafood ingredients. In other words, it attempted to achieve various purposes such as island tourism,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in fishing villag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Through this, it was proposed to develop island food tourism products using the seafood ingredients of the island regions. As a result, first, the necessity of a strategic approach using food and cooking rooms, second, the promotion of strategies for attracting foreign tourists to revitalize the island food tourism, third, the promotion of strategies for activating island food tourism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motives for fishing village tourism of marine tourists, and fourth, the necessity of a regional branding strategy based on specific fishery products on islands and in fishing villages was proposed. Island food tourism in fishing villages in Korea, which must promote island tourism, is still in its infancy.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island food tourism, but also the fact that the food tourism resources using seafood ingredi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Foods that simply use general aquatic products that are not specialized for each region are being introduced. In addition, this is because only similar foods, which are not characterized by fishing villages, are introduced provocatively and showily through broadcasting, media, and social media Korean food is gaining popularity due to the recent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especially Daejanggeum) and the slow food craze. The traditional cultures of seasonal food and local food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affection from potential tourists from around the world. However, there are areas that have not actively utilized these good conditions.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sland food tourism that can maximize the attraction of foreign tourists using Korea's excellent seafood ingredients is inadequate. Accordingly, this study promoted the activation of the island tourism industry and the development of diversified island tourism destinations using seafood ingredients, which are part of the new Korean Wave content. In addition, it sought to revitalize island food tourism as a means to vitalize the local economy. To this end, literature studies such as books, previous studies, government publications, and newspaper article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a plan to revitalize island food tourism using seafood food materials was derived and proposed. In addition, it suggested policies necessary to revitalize island food tourism using seafood ingredi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slands and fishing villages are emerging as new tourist destinations thanks to the recent government's policy of promoting island tourism and fishing village tourism.

Ⅰ. 서 론
Ⅱ. 수산물 식재료와 음식관광의 관계 연구
Ⅲ. 수산물 식재료 활용 섬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
Ⅳ. 결 론
주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