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초등학교 학생의 수학불안 변화 분석: 종단연구
Analysis of Changes in Mathematical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김리나 ( Kim Rina )
UCI I410-ECN-0102-2022-300-000582502

수학불안은 수학에 대한 정서적·신체적 거부감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학생들의 수학불안에 대해 이해하는 것은 수학 학업 성취도 향상 뿐 아니라 미래 사회에 필요한 수학 인력 양성의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특히 수학불안은 대부분 초등학교시기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후속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수학불안 양상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불안 변화 패턴을 제시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249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불안을 4학년에서 6학년까지 3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수학불안 양상의 다섯 가지 패턴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수학불안 변화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교사의 수학 수업에 대한 흥미도이며, 부모의 관심은 수학불안을 경감시키고, 사교육에 대한 부담감은 수학불안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Mathematics anxiety is a term for emotional and physical resistance to mathematics. Understanding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is important not only in terms of improving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 nurturing mathematics manpower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In particular, mathematics anxiety is most likely to occur in elementary school, and it has a negative effect on subsequent learn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I presented the patterns of changes in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over time and statistically verified them. As a result of a follow-up survey of 249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for 3 years from 4th to 6th grade, it was found that, rather than having a special pattern related to the formation of math anxiety, it may increase and decrease and vary depending on individual confirmed. Later, in this study, five patterns of Mathematics anxiety patterns were identif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I confirmed that the students' interest about teachers’ mathematics lessons was consistently influencing the change in mathematics anx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formation of mathematics anxiety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lated to mathematics anxiety in the future and subsequent research.

Ⅰ. 서론
Ⅱ. 연구의 배경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