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아동의 언어습득 발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사적 오류를 언어학 이론의 관점에서 해석 한다. 특히, 아동의 언어습득 단계에서 발생하는 불완전한 통사적 구조에 의한 문법 오류는 언어와 연관하여 인간이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언어습득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와 관련이 있다고 본다. 이 언어습득장치가 가지고 있는 운용체계는 보편문법(Universal Grammar)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계를 1980년대와 1990년대 중반까지 생성 문법에서는 원리와 매개변인(Principles and Parameters)을 통해 설명하였다. 1990년 중반 이후로는 언어학과 언어습득이론에 있어 좀 더 근본적으로 접근한 이론으로 최소주의이론(Minimalist Theory)이 등장하였고, 이 논문에서는 최소주의이론이 아동의 통사구조 습득 과정에 더 근본적인 해답을 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아동의 통사구조 발달 과정에서 동사구 구조와 의문문 구조의 불완전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문법범주(grammatical category)에 기반 한 이론과 자질(feature)의 미명시성(underspecification) 기반 한 이론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문법범주 기반 접근 방식인 구조구축모델(structure-building model)을 통해 아동의 주어 생략 구문과 불완전 wh-의문문 구조의 발달을 선기능어범주 단계 분석(prefunctional stage analysis)으로 살펴보았다. 이 분석의 핵심은 아동의 언어습득 장치는 아직 기능범주 구조(functional category structure)가 만들어지기 전이기 때문에 아동은 주로 내용어휘만을 가지고 구문을 생성하게 되고, 따라서 불완전한 구문구조가 생성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분석 방식은 아동의 통사 발달 과정에서 드러난 경험적 자료와 개념적 문제점들에 대한 근본적인 설명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최소주의이론의 틀에서 범주보다 더 본질적인 요소인 자질을 가지고 분석 해 보았다. 이 분석에서는 구조구축모델과 달리 아동도 성인과 동일한 기능 범주와 어휘 범주를 포함한 같은 구문 구조를 갖고 있다. 유일한 차이는 아동의 문법에 있는 기능 범주와 어휘 범주의 자질들 중의 일부 또는 전체가 미명시된 상태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질의 미명시가 아이들이 아직은 불완전한 문장을 생성 해 내게 되는 이유인 것이다. 최소주의이론에서 자질의 미명시성에 의한 분석의 장점은 아동의 발화에 나타나는 어순과 관련된 핵위치 매개변인(head parameter)의 고정, 불완전 격을 지닌 주어의 등장, wh-의문사 이동 등의 통사적 현상에 적절한 해답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nature of the language acquisition device(LAD) and children’s language acquisition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a category based prefunctional approach and a feature based minimalist approach. Young children acquiring English as their first language produce a wide range of incomplete sentences with a null subject, a null auxiliary, and a wh-word in situ, etc. The structure-building model based on the category approach to grammar has been discussed to provide a principled account of early young children’s syntactic development. However, it does not seem to give a sufficient answer to the child grammar. Alternatively, the minimalist feature framework is suggested for solving the limitations of the prefunctional analysis like the structure-building model. In the minimalist theory, features are regarded as essential elements rather than categories. and young children have the same range of functional categories and the same syntactic structures containing functional categories as their adult counterparts. The only difference between children and adults in grammar is the underspecification on features of functional and lexical categories. This leads to children’s incomplete sentences. The minimalist feature framework gives a well principled explanation for a wide range of incomplete sentences produced by young children. It also provides a fundamental answer to the nature of language and the system of the LAD.